고난도 CR 문제 풀이 15: At a certain period in earth’s history, its atmosphere ~ |
강쌤: 우리는 Critical Reasoning(논리 추론)에 7가지 유형이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습니다. Critical Reasoning(논리 추론) 문제들을 제대로 풀려면 7가지 유형을 모두 기억해야 합니다. Critical Reasoning(논리 추론)의 7가지 유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괄호 안은 출제 빈도를 나타냅니다. (기타 5%입니다)
유형 1: Strengthen(강화) 문제 (22%)
유형 2: Weaken(약화) 문제 (28%)
유형 3: Assumption(가정) 문제 (20%)
유형 4: Conclusion(결론) 문제 (10%)
유형 5: Resolve contradiction/paradox(모순/역설 해결) 문제 (5%)
유형 6: Fill in the blank(빈칸 채우기) 문제 (3%)
유형 7: Roles of two portions(두 부분의 역할) 문제 (7%)
At a certain period in earth’s history, its atmosphere contained almost no oxygen, although plants were producing vast quantities of oxygen. As a way of reconciling these two facts, scientists have hypothesized that nearly all of the oxygen being produced was taken up by iron on Earth’s surface. Clearly, however, this explanation is inadequate. New studies show that the amount of iron on Earth’s surface was not sufficient to absorb anywhere near as much oxygen as was being produced. Therefore, something in addition to the iron on Earth’s surface must have absorbed much of the oxygen produced by plant life.
30. In the argument given, the two portions in boldface play which of the following roles?
ⓐ The first is a claim made by the argument in support of a certain position; the second is that position.
ⓑ The first is a judgment made by the argument about a certain explanation; the second is that explanation.
ⓒ The first presents the main conclusion of the argument; the second provides evidence in support of that conclusion.
ⓓ The first sums up the argument’s position with regard to a certain hypothesis; the second provides grounds for that position.
ⓔ The first is a concession by the argument that its initial formulation of the position it seeks to establish requires modification; the second presents that position in a modified form.
이 문제가 고난도인 이유:
강쌤: 위 30번 문제는 제 현강(2011-2018년) 학생들이 풀기 힘들어했던 문제입니다.
초롱: 왜 그 학생들은 위 문제의 답을 찾기 힘들어했습니까?
강쌤: 학생들은 “유형 7: Roles of two portions(두 부분의 역할) 문제”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어려워 합니다.
초롱: 왜요?
강쌤: “Roles of two portions(두 부분의 역할)” 문제에 답하려면 다음과 같은 생소한 용어들을 알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Evidence / Ground |
증거, 분명히 하는 것 <객관적 이유> |
Main conclusion |
주요한 결론, 가장 중요한 생각 <주관적 생각> |
Intermediate conclusion |
중간 결론, 중간 생각 <주관적 생각> |
Further conclusion |
추가적인 결론, 추가적인 생각 <주관적 생각> |
Objection |
이의, 반대 <주관적 생각> |
Position |
입장, ~에 대한 견해 <쌍방의 주관적 견해> |
Assumption |
가정, 전제 |
Claim |
(사실이라는) 주장, ~이라고 주장하다 |
Phenomenon |
현상, 사건, 관측되는 일 <객관적 사건> |
초롱: 위 용어들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강쌤: 위 용어들이 보기에 주어지기 때문에 이것들을 모르면 제대로 답변할 수 없습니다. 지문에 볼드체로 표시된 two portions의 역할은 위 표에 있는 것들 중 두 개가 됩니다.
강쌤의 지문 분석:
강쌤: 30번 문제의 지문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각 문장이 객관을 나타내는지 주관을 나타내는지 빠르게 파악하려면 서술어에 주목하세요.
첫째 내용:
지구의 역사 중 특정 시기에는, 지구 대기는 거의 산소를 포함하지 않았다, / 비록 식물들이 대량의 산소를 생산하고 있었지만. <객관적 사실>
둘째 내용:
이 두 사실을 조화시키기 위해, 과학자들은 생산되는 산소 90%가 지구 표면의 철에 의해 흡수되었다고 생각했다. <주관적 주장>
셋째 내용:
그러나 분명히, 이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주관적 주장>
넷째 내용:
새로운 연구들은 보인다 / 지구 표면의 철의 양은 생산되는 산소를 흡수하기에는 충분치 않다는 것을. <객관적 사실>
다섯째 내용:
그러므로, 지구 표면의 철 외에도 무언가가 식물 생활로 인해 생산된 산소 중 많은 것을 흡수했음에 틀림이 없다. <주관적 주장>
강쌤: 첫째 내용에서 서술어 “포함하지 않았다”와 “생산하고 있었다”는 객관적인 사실을 나타내고, 둘째 내용에서 서술어 “생각했다”는 주관적 의견을 나타내고, 셋째 내용에서 서술어 “적절하지 않다”는 주관적 의견을 나타내고, 넷째 내용에서 서술어 “보인다”와 “흡수하기에는 충분치 않다”는 객관적 사실을 나타내고, 다섯째 내용에서 서술어 “틀림이 없다”는 주관적 의견을 나타냅니다.
강쌤의 문제 분석:
강쌤: 30번 질문은 ‘roles of the two portions(두 부분의 역할) 문제’입니다.
30. In the argument given, the two portions in boldface play which of the following roles?
강쌤의 보기 분석:
강쌤: 첫 번째 부분 “this explanation is inadequate”은 저자의 주관적 주장, 즉 결론을 나타내고 두 번째 부분 “the amount of iron on Earth’s surface was not sufficient to absorb anywhere near as much oxygen as was being produced”는 객관적 사실, 즉 근거를 나타냅니다. 이런 내용을 반영하는 선택지가 정답입니다.
ⓐ The first is a claim made by the argument in support of a certain position; the second is that position.
➡️ 오답 (둘째 부분은 ‘입장’이 아니라 주장에 대한 ‘근거’이다)
ⓑ The first is a judgment made by the argument about a certain explanation; the second is that explanation.
➡️ 오답 (둘째 부분은 ‘판단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주장에 대한 ‘근거’이다)
ⓒ The first presents the main conclusion of the argument; the second provides evidence in support of that conclusion.
➡️ 정답 (첫 부분은 주장, 즉 주요 결론이고, 둘째 부분은 결론을 뒷받침하는 근거이다)
ⓓ The first sums up the argument’s position with regard to a certain hypothesis; the second provides grounds for that position.
➡️ 오답 (첫 번째 부분은 ‘입장’이 아니라 저자의 주장, 즉 결론이다)
ⓔ The first is a concession by the argument that its initial formulation of the position it seeks to establish requires modification; the second presents that position in a modified form.
➡️ 오답 (첫 부분은 ‘양보’가 아니라 주장(결론)이고, 둘째 부분은 ‘입장’이 아니라 ‘근거’이다)
GPT-4의 해설
30번 문제는 주어진 논증에서 볼드체로 표시된 두 부분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논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특정 시기의 지구의 대기는 산소가 거의 없었으나, 식물이 대량의 산소를 생산했습니다. 이 두 사실을 조화롭게 설명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지구 표면의 철이 생산된 산소 대부분을 흡수했다고 가설을 세웠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연구 결과, 지구 표면의 철의 양이 생산된 산소를 흡수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따라서 지구 표면의 철 외에 다른 무언가가 식물이 생산한 산소의 많은 부분을 흡수했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립니다.
볼드체 부분을 살펴보면, 첫 번째 볼드체 부분은 "이 설명은 부족하다"라고 주장하고, 두 번째 볼드체 부분은 "지구 표면의 철의 양이 생산된 산소를 흡수하기에는 충분치 않았다"라는 증거를 제시합니다. 이 두 부분은 철이 산소를 흡수하는 설명이 부족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관계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선택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The first presents the main conclusion of the argument; the second provides evidence in support of that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