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도 리딩 문제 풀이 9> Late-eighteenth-century English cultural authorities ~ |
강쌤: 9월 19일부터 리딩과 센컴 고난도 문제 풀이를 시작했습니다. 7년 전에 그랬던 것처럼 뜨겁고 치열하게 문제를 다루겠습니다.ㅎㅎ
Late-eighteenth-century English cultural authorities seemingly concurred that women readers should favor history, seen as edifying, than fiction, which was regarded as frivolous and reductive. Readers of Marry Ann Hanway’s novel Andrew Stewart, or the Northern Wanderer, learning that its heroine delights in David Hume’s and Edward Gibbon’s histories, could conclude that she was more virtuous and intelligent than her sister, who disdains such reading. Likewise, while the naïve, novel-addicted protagonist of Jane Austen’s Northanger Abbey, Catherine Morland, finds history a chore, the sophisticated, sensible character Eleanor Tilney enjoys it more than she does the Gothic fiction Catherine prefers.
Yet in both cases, the praise of history is more double-edged than it might actually appear. Many readers have detected a protofeminist critique of history in Catherine’s protest that she dislikes reading books filled with men “and hardly any women at all.” Hanway, meanwhile, brings a controversial political edge to her heroine’s reading, listing the era’s two most famous religious skeptics among her preferred authors. While Hume’s history was generally seen as being less objectionable than his philosophy, there were widespread doubts about his moral soundness even as a historian by the time that Hanway was writing, and Gibbon’s perceived tendency to celebrate classical paganism sparked controversy from the first appearance of his history of Rome.
17. According to the passage, which of the following is true of Hume’s reputation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 He was more regarded as a historian than Gibbon.
ⓑ His historical writing, like his philosophical writing, came to be regarded as problematic.
ⓒ He was more well-known for his historical writing than for his philosophical writing.
ⓓ His historic writing came to be regarded as morally questionable because of his association with Gibbon.
ⓔ His views about classical paganism brought him disapproval among the general reading public.
18. The highlighted sentence (lines 2-4) exemplifies which of the following?
ⓐ Cultural authorities’ attempt to use novels to support their view about the value of reading fiction
ⓑ Eighteenth-century women authors’ attempts to embody in their work certain cultural authorities’ views about reading
ⓒ A point about the educational value of reading books about history
ⓓ An instance in which a particular judgment about the value of reading history is apparently presupposed
ⓔ A challenge to an assumption about eighteenth-century women’s reading habits
19. The author mentions the “widespread doubts” (lines 10-11) in order to
ⓐ support a point about the scholarly merit of Hume’s writings
ⓑ contrast Hume’s philosophical writing with his writing on historical subjects
ⓒ suggest that Hanway did not understand the implicit controversy depicting her heroine as reading Hume
ⓓ identify an ambiguity in Hanway’s depiction of the philosopher in The Northern Wanderer
ⓔ illustrate a point about a way eighteenth-century fiction sometimes represented historians
알림: 중국 후기에는 위 지문이 한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보기에 위 지문은 2개의 단락으로 나뉘어져야 글 전체 흐름이 자연스럽습니다. 왜냐하면 10번째줄 “Yet in both cases, the praise of history is more double-edged than it might actually appear.” 이전의 내용은 18세기말 영국 문화 권위자들의 생각을 나타내는데 반해 그다음에 나오는 내용은 앞에 제시된 것에 반하는 저자의 생각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Yet”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뜻입니다.
GPT-4의 본문 해석
“18세기 후반의 영국 문화 권위자들은 여성 독자들이 교훈적으로 여겨지는 역사를, 경박하고 단순화된 것으로 간주되는 소설보다 선호해야 한다는 것에 공감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Marry Ann Hanway의 소설 'Andrew Stewart, or the Northern Wanderer'의 독자들은 소설의 여주인공이 David Hume과 Edward Gibbon의 역사를 즐긴다는 것을 알고, 역사를 싫어하는 그녀의 여동생보다 더 도덕적이고 지적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Jane Austen의 'Northanger Abbey'의 순진하고 소설 중독의 주인공 Catherine Morland는 역사를 지루한 일로 여기는 반면, 세련되고 현명한 캐릭터 Eleanor Tilney는 Catherine이 선호하는 고딕 소설보다 역사를 더 즐깁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역사에 대한 칭찬이 실제로 보이는 것보다 더 이중적입니다. 많은 독자들은 Catherine이 “거의 여성이 없는” 책을 읽는 것을 싫어하는 그녀의 항의에서 초기 여성주의자의 역사 비판을 감지했습니다. 한편 Hanway는 그녀의 여주인공의 독서에 논쟁의 여지가 있는 정치적인 측면을 도입하며, 그녀가 선호하는 작가 중에 당시 가장 유명한 두 종교 회의론자를 나열합니다. Hume의 역사는 그의 철학보다는 덜 이의를 사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졌지만, Hanway가 글을 쓰는 그 시점에는 그의 도덕적 진정성에 대한 광범위한 의심이 있었으며, Gibbon이 고전 이교를 기리는 경향이 그의 로마 역사의 첫 등장부터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강쌤의 17번 문제 분석:
강쌤: 17번 문제는 “ According to the passage ~” 문제이기 때문에 객관적 사실을 찾아야 합니다.
17. According to the passage, which of the following is true of Hume’s reputation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강쌤: 17번 문제의 핵심어구는 “Hume’s reputation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18세기말 흄의 평판)입니다.
초롱: 흄에 대한 18세기말 평판은 본문 어디에 나옵니까?
강쌤: ‘흄에 대한 18세기말 평판은 둘째 문단 마지막 문장에 다음과 같이 나오고 있습니다.
“While Hume’s history was generally seen as being less objectionable than his philosophy, there were widespread doubts about his moral soundness even as a historian by the time that Hanway was writing, ~ “
초롱: 흄에 대한 18세기말 평판은 어떻습니까?
강쌤: 다음과 같이 부정적이었습니다.
“Hume의 역사는 일반적으로 그의 철학보다는 덜 반대 받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Hanway가 글을 쓰는 그 시점에는 역사가로서 조차도 그의 도덕적 진정성에 대한 광범위한 의심이 있었다.”
강쌤: 위 내용이 17번 문제의 답입니다.
강쌤의 17번 보기 분석:
강쌤: 이 문제는 고난도 문제가 아닙니다. 모든 싸이트, 학생들, GPT-4가 이 문제의 답을 C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http://gre.kmf.com/question/e5vd1k.htm
ⓐ He was more regarded as a historian than Gibbon.
➡️ 오답 (그는 Gibbon보다 더 역사가로 간주되었는지 여부는 본문에 나오지 않는다)
ⓑ His historical writing, like his philosophical writing, came to be regarded as problematic.
➡️ 정답 (본문 마지막 문장에 따르면, ‘흄의 역사는 일반적으로 철학보다 덜 반대됐지만, 역사가로서도 의심 받았다’는 내용이 나오므로 “그의 역사적 저술은 철학적 저술처럼 문제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는 정답이다)
ⓒ He was more well-known for his historical writing than for his philosophical writing.
➡️ 오답 (그가 철학적 저술보다 역사적 저술로 더 유명했는지 여부는 본문에 나오지 않는다.)
ⓓ His historic writing came to be regarded as morally questionable because of his association with Gibbon.
➡️ 오답 (그의 역사적 저술이 도덕적으로 의심 받은 이유가 Gibbon과의 교류 때문인지는 본문에 나오지 않는다)
ⓔ His views about classical paganism brought him disapproval among the general reading public.
➡️ 오답 (고전적 이교도에 대한 그의 견해는 독자 대중들이 그를 싫어하게 만든 요인인지 여부는 본문에 나오지 않는다)
GPT-4의 17번 해설
본문에 따르면, 18세기 후반에 대한 Hume의 평판에 대해 다음 중 어느 것이 사실인지 질문합니다.
ⓐ Gibbon보다 그는 역사학자로 더 인정받았다.
ⓑ 그의 역사책과 철학책 모두 문제가 있다고 여겨졌다.
ⓒ 그는 철학 책보다 역사 책으로 더 유명했다.
ⓓ 그의 역사책이 Gibbon과의 연관으로 도덕적으로 문제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 그의 고전 이교도에 대한 견해로 일반 독자들 사이에서 불승인을 받았다.
본문은 Hume의 역사 책이 그의 철학 책보다 덜 반대 됐으며, Hanway가 글을 쓰는 그 시점에는 그의 도덕성에 대한 의심이 있었다고 언급합니다. 본문은 Hume과 Gibbon의 평판을 직접 비교하지 않으며, Hume이 철학 작품보다 역사 작품으로 더 유명했다거나, 그의 고전 이교에 대한 견해로 인한 불승인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선택지 중 ⓑ "그의 역사책과 철학책 모두 문제가 있다고 여겨졌다"가 본문의 내용과 가장 일치합니다. 본문에 따르면, 그의 철학 책이 문제가 있었던 것처럼, 그의 역사책에 대해서도 도덕적인 의심이 있었다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강쌤의 18번 문제 분석:
강쌤: 18번 문제는 강조된 문장의 역할에 관한 문제입니다.
18. The highlighted sentence (lines 2-4) exemplifies which of the following?
강쌤: 18번 문제는 아래 강조된 문장이 어떤 내용의 예시인지를 묻고 있습니다.
Readers of Marry Ann Hanway’s novel Andrew Stewart, or the Northern Wanderer, learning that its heroine delights in David Hume’s and Edward Gibbon’s histories, could conclude that she was more virtuous and intelligent than her sister, who disdains such reading.
(Marry Ann Hanway의 소설 'Andrew Stewart, or the Northern Wanderer'의 독자들은 소설의 여주인공이 David Hume과 Edward Gibbon의 역사를 즐긴다는 것을 알고, 역사를 싫어하는 그녀의 여동생보다 더 도덕적이고 지적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습니다.)
초롱: 18번 문제는 어떻게 풀 수 있나요?
강쌤: 18번 문제는 어떤 내용의 예시인지를 묻고 있기 때문에 바로 앞 문장을 보면 됩니다. 왜냐하면 바로 앞 문장의 예시로 쓰일 가능성이 아주 높기 때문입니다. 바로 앞 문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Late-eighteenth-century English cultural authorities seemingly concurred that women readers should favor history, seen as edifying, than fiction, which was regarded as frivolous and reductive.”
(18세기 후반의 영국 문화 권위자들은 공감하는 것처럼 보였다 / 여성 독자들이 교훈적으로 여겨지는 역사를 소설보다 선호해야 한다는 것을, / 소설은 경박하고 단순화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강쌤의 18번 보기 분석:
강쌤: 이 문제는 고난도 문제가 아닙니다. 모든 싸이트, 학생들, GPT-4가 이 문제의 답을 D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강쌤: 강조된 문장은 ‘여성 독자들이 소설보다 역사를 선호해야 한다’는 18세기 후반 영국 사회 분위기의 예시를 나타냅니다. 이런 내용이 18번 문제의 정답입니다.
ⓐ Cultural authorities’ attempt to use novels to support their view about the value of reading fiction
➡️ 오답 (강조된 문장은 소설의 가치가 아니라 역사의 가치에 대한 예시이다)
ⓑ Eighteenth-century women authors’ attempts to embody in their work certain cultural authorities’ views about reading
➡️ 오답 (강조된 문장은 독서에 대한 문화 권위자들의 견해에 대한 예시가 아니라 역사의 가치에 대한 예시이다.)
ⓒ A point about the educational value of reading books about history
➡️ 오답 (강조된 문장은 역사에 관한 책을 읽는 것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중요성이 아니라 소설보다 역사를 읽어야 한다는 사회 분위기의 예시이다)
ⓓ An instance in which a particular judgment about the value of reading history is apparently presupposed
➡️ 정답 (강조된 문장은 역사를 읽는 것의 가치에 대한 특정적 판단이 명백하게 전제되는 사례를 나타낸다)
ⓔ A challenge to an assumption about eighteenth-century women’s reading habits
➡️ 오답 (강조된 문장은 18세기 여성들의 독서 습관에 대한 가정에 대한 도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소설보다 역사를 읽어야 한다는 사회 분위기의 예시이다)
GPT-4의 18번 해설
주어진 문제에서 강조된 문장인 "Marry Ann Hanway의 소설 'Andrew Stewart, or the Northern Wanderer'의 독자들은 소설의 여주인공이 David Hume과 Edward Gibbon의 역사를 즐긴다는 것을 알고, 이를 싫어하는 그녀의 여동생보다 더 도덕적이고 지적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습니다"는 다음 중 어느 것을 예시로 드는지 질문합니다.
ⓐ 문화 권위자들이 소설의 가치에 대한 그들의 견해를 지지하기 위해 소설을 사용하는 시도
ⓑ 18세기 여성 작가들이 그들의 작품에 문화 권위자들의 독서에 대한 견해를 구현하는 시도
ⓒ 역사에 관한 책을 읽는 것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포인트
ⓓ 역사 독서의 가치에 대한 특정 판단이 명백히 전제되는 사례
ⓔ 18세기 여성들의 독서 습관에 대한 가정에 대한 도전
강조된 문장은 Hanway의 소설에서 여주인공이 Hume과 Gibbon의 역사를 즐기며 독서를 통해 더 도덕적이고 지적이라고 판단되는 상황을 보여줍니다. 이 문장은 18세기의 여성 독자가 역사를 읽음으로써 더 덕도 있고 지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는 가치 판단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것은 “역사 독서의 가치에 대한 특정 판단이 명백히 전제되는 사례”를 예시로 보여줍니다.
정답은 ⓓ입니다.
강쌤의 19번 문제 분석:
강쌤: 19번 문제는 ‘mention X ~ in order to’ 문제입니다.
19. The author mentions the “widespread doubts” (lines 11-12) in order to
초롱: 19번 문제는 어떻게 풀어야 하나요?
강쌤: ‘mention X ~ in order to’ 문제에 답하는 일반적인 요령은 X 바로 앞 문장에서 답을 찾는 것입니다. 하지만 위 지문의 전개 방식은 주제(“more double-edged”)를 보충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 예(Catherine, Hanway)를 제시하고 있고, 밑줄 그어진 부분은 둘째 예가 되기 때문에 주제 문장에서 답을 찾아야 합니다.
Yet in both cases, the praise of history is more double-edged than it might actually appear. Many readers have detected a protofeminist critique of history in Catherine’s protest that she dislikes reading books filled with men “and hardly any women at all.” Hanway, meanwhile, brings a controversial political edge to her heroine’s reading, listing the era’s two most famous religious skeptics among her preferred authors. While Hume’s history was generally seen as being less objectionable than his philosophy, there were widespread doubts about his moral soundness even as a historian by the time that Hanway was writing, and Gibbon’s perceived tendency to celebrate classical paganism sparked controversy from the first appearance of his history of Rome.
강쌤의 19번 보기 분석:
강쌤: 저는 19번 문제의 답이 E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국 GRE 싸이트들은 답을 C라고 주장합니다.
http://gre.kmf.com/question/e5vd1k.htm
https://gre.koolearn.com/20171219/797254_2.html
강쌤: 19번 문제의 답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문제 제기하는 학생도 있습니다.
“C가 답이 안 되는 이유를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여자 독자들이 reading history한 것이 관건인데 E는 그 내용이 없어서 저는 C를 처음에 골랐거든요.
답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강쌤: GPT-4는 19번 문제의 답을 E라고 주장합니다. 아래에서 그 이유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GPT-4가 나타나면서 힘을 얻고 있습니다. 7년 전에는 저 혼자 거대 세력과 싸우느라 힘들었답니다.ㅜㅜ)
초롱: 19번 문제의 답을 둘째 문단 주제 문장에서 찾아야 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 그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강쌤: 앞에서 잠깐 언급한 바와 같이, 위 지문의 전개 방식은 주제(“more double-edged”)를 보충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 예(Catherine, Hanway)를 제시하고 있고, 밑줄 그어진 부분은 둘째 예가 되기 때문입니다. 자세히 살펴볼까요?
Yet in both cases, the praise of history is more double-edged than it might actually appear. Many readers have detected a protofeminist critique of history in Catherine’s protest that she dislikes reading books filled with men “and hardly any women at all.” Hanway, meanwhile, brings a controversial political edge to her heroine’s reading, listing the era’s two most famous religious skeptics among her preferred authors. While Hume’s history was generally seen as being less objectionable than his philosophy, there were widespread doubts about his moral soundness even as a historian by the time that Hanway was writing, and Gibbon’s perceived tendency to celebrate classical paganism sparked controversy from the first appearance of his history of Rome.
강쌤: 위 문단 첫 문장에서 ‘Yet’을 보면 앞 내용과 반대라는 것을 알 수 있죠. ‘more double-edged(더 양날의 칼인, 더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는)’을 보면 “역사에 대한 칭찬이 그렇게 단순한 것이 아냐. 역사의 칭찬은 이중적 의미가 있어.”라는 저자의 생각을 읽을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는 why?에 대한 내용이 나올까요, 아니면 how?에 대한 내용이 나올까요?
초롱: why?에 대한 내용이요.
강쌤: 그렇죠. ‘more double-edged’은 저자의 주장 즉,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그 다음에는 그 이유가 나와야죠. 두 번째 문장이 첫 번째 이유입니다.
“Many readers have detected a protofeminist critique of history in Catherine’s protest that she dislikes reading books filled with men “and hardly any women at all.”
(많은 독자들은 Catherine의 항의에서 역사에 대한 첫 여성주의 비평을 발견하고 있다 / Catherine은 남자들로 가득 차고 여자들은 거의 없는 역사책들을 읽는 것을 싫어한다는)
초롱: 왜 위 문장이 ‘more double-edged’의 이유가 되나요?
강쌤: 첫 문단에서 18세기 소설 독자들은 ‘제인 오스틴의 소설 ‘Northanger Abbey‘의 여주인공 Catherine이 소설을 탐닉하고 역사를 a chore(허드렛일, 잡일)이라고 생각하는 것 때문에’ Catherine을 naïve(순진한, 세상물정 모르는)이라고 간주합니다. 하지만 저자는 Catherine이 역사를 읽지 않는 것에는 ‘more double-edged(더 양날의 칼인, 더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것이죠. 왜냐하면 Catherine이 역사를 읽지 않는 이유는 여성주의적 사고 때문 즉, ‘역사책에는 여자는 거의 없고 남자들로 가득하다’는 것 때문이죠.
강쌤: 둘째 문단 세 번째와 네 번째 문장이 ‘more double-edged’에 대한 저자의 두 번째 이유입니다.
“Hanway, meanwhile, brings a controversial political edge to her heroine’s reading, listing the era’s two most famous religious skeptics among her preferred authors. While Hume’s history was generally seen as being less objectionable than his philosophy, there were widespread doubts about his moral soundness even as a historian by the time that Hanway was writing, and Gibbon’s perceived tendency to celebrate classical paganism sparked controversy from the first appearance of his history of Rome.”
초롱: 왜요?
강쌤: 우선, 셋째 문장부터 볼까요? 아래에 이해하기 쉽게 의역했습니다.
“Hanway는 그녀의 여주인공이 역사서 읽기를 좋아한다고 씀으로써 논쟁적인 정치적 신랄함을 제공한다. 왜냐하면 그녀가 인용한 Hume과 Gibbon은 그 당시에 두 명의 가장 유명한 회의론자들이기 때문이다.”
강쌤: 그 다음에는 어떤 내용이 나와야 할까요?
초롱: ‘그 당시에 두 명의 가장 유명한 회의론자들’에 관한 내용이 나와야 합니다.
강쌤: 그렇죠. 바로 이 부분이 4번 질문의 답입니다. 그러니 주의 깊게 읽어주세요.^^
“Hume의 역사는 일반적으로 그의 철학보다는 덜 반대되긴 하지만 Hanway가 글을 쓸 당시에 역사가로서 그의 도덕적 건전함에 대한 폭넓은 의심이 있었다. 고전적 이교도 신앙을 찬양하는 Gibbon의 경향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강쌤: 저자가 ‘폭넓은 의심’이라는 표현을 쓴 이유는 무엇일까요?
초롱: ???
강쌤: 이것은 ‘more double-edged’라는 저자의 주장에 대한 저자의 두 번째 이유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저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으니까요.
18세기에 Hanway가 그녀의 여주인공이 역사서 읽기를 좋아한다고 씀으로써 18세기 독자들이 편안하게 받아들인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Hanway는 Hume과 Gibbon을 좋아하는 역사가로 내세우는데 Hume에 대해서는 18세기의 많은 작가들이 그의 도덕적 건전함에 의심을 품었기 때문이다.
강쌤: 저자가 ‘widespread doubts’라고 쓴 이유는 주제인 ‘more double-edged’를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즉, Hanway의 두 명의 역사가들에 대한 인식과 다른 작가들의 그 두 명의 역사가들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는 것이죠. 그래서 19번 정답은 C가 아니라 E인 것이죠.
ⓐ support a point about the scholarly merit of Hume’s writings
➡️ 오답 ("widespread doubts"이 언급된 이유는 Hume의 글의 학술적 가치에 대한 점을 지원하기 위함이 아니다)
ⓑ contrast Hume’s philosophical writing with his writing on historical subjects
➡️ 오답 ("widespread doubts"이 언급된 이유는 Hume의 철학과 역사에 대한 글을 대조하기 위함이 아니다)
ⓒ suggest that Hanway did not understand the implicit controversy depicting her heroine as reading Hume
➡️ 오답 (Hanway가 그 암묵적인 논쟁을 이해했느냐 아니냐는 것은 주제 ‘more double-edged’와 관계 없다. 더구나 우리는 Hanway가 그 암묵적인 논쟁을 이해했는지, 또는 이해하지 못했는지 조차 알 수 없다.)
ⓓ identify an ambiguity in Hanway’s depiction of the philosopher in The Northern Wanderer
➡️ 오답 ("widespread doubts"이 언급된 이유는 Hanway가 'The Northern Wanderer'에서 철학자의 표현에 모호성을 도입하려고 한 것이 아니다)
ⓔ illustrate a point about a way (that) eighteenth-century fiction sometimes represented historians
➡️ 정답 (18세기 소설이 가끔 역사가들을 나타낸 방식, 즉 ‘도덕적으로 의심한 것’은 Hanway 입장과 반대이다. 바로 이것은 문단의 주제인 ‘more double-edged(더 양날의 칼인, 더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는)’와 관계 있다.)
GPT-4의 19번 해설
지문은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여성 독자들이 역사 책을 선호해야 한다는 공통된 문화적 견해를 소개합니다. 여성 독자들은 역사 책이 교훈적이라고 믿었으며, 소설은 경박하고 단순화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여기서 두 개의 예시로 Marry Ann Hanway의 소설과 Jane Austen의 'Northanger Abbey'에서의 여성 캐릭터들이 언급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역사 찬양이 실제로 보이는 것보다 더 복잡하다는 것을 지문은 지적합니다.
지문이 "widespread doubts"를 언급하는 이유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겠습니다.
ⓐ 선택지는 Hume의 글의 학술적 가치에 대한 점을 지원하기 위함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widespread doubts"이 언급된 이유가 아닙니다.
ⓑ 선택지는 Hume의 철학과 역사에 대한 글을 대조하기 위함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widespread doubts"이 언급된 이유가 아닙니다.
ⓒ 선택지는 Hanway가 그녀의 여성 주인공이 Hume의 글을 읽는 것에 대한 암시된 논쟁을 이해하지 못했음을 제시한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지문에서는 Hanway가 이를 이해하지 못했다는 증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 선택지는 Hanway가 'The Northern Wanderer'에서 철학자의 표현에 모호성을 도입했다고 말합니다. 이것은 지문이 직접적으로 지지하지 않는 주장입니다.
ⓔ 선택지는 18세기 소설이 역사학자들을 어떻게 표현했는지에 대한 점을 보여주기 위함이라고 말합니다. "widespread doubts"에 대한 언급은 Hanway가 Hume을 읽는 여성 주인공의 이미지에 논쟁의 여지를 도입한 것과 연결되어, 이는 18세기 소설이 역사학자들을 어떻게 표현했는지를 시사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