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도 TC/SE 문제 풀이 13> Some academic criticism of popular novels has been ~ |
강쌤: 9월 19일에 리딩과 센컴 고난도 문제 풀이를 시작했습니다. 7년 전에 그랬던 것처럼 뜨겁고 치열하게 문제를 다루겠습니다.ㅎㅎ
For Question 13, select one entry for each blank from the corresponding column of choices. Fill all blanks in the way that best completes the text.
13. Some academic criticism of popular novels has been (i)__________ in character, being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wider the appeal, the more (ii)__________ the novel.
Blank (i) |
|
Blank (ii) |
||
ⓐ |
rigorous |
|
ⓓ |
undesirable |
ⓑ |
exculpatory |
|
ⓔ |
accomplished |
ⓒ |
elitist |
|
ⓕ |
comprehensible |
단어
appeal(호소, 매력), rigorous(엄격한, 가혹한; 엄밀한, 정확한), exculpatory(무고한 죄를 벗겨주는, 해명이 되는, 변명의), elitist (엘리트주의의, 엘리트주의자: 소수의 엘리트들이 무능한 일반 대중을 지배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 undesirable(바람직하지 않은, 매력 없는), accomplished(이루어진, 완성된, 학식이 깊은, 세련된), comprehensible (이해할 수 있는, 포함될 수 있는)
해석
“대중 소설들에 대한 몇몇 학술적 비평은 속성에서 엘리트주의적이다, / 그 전제에 기반해서 / 그 (소설의) 매력이 더 넓으면 넓을수록, 그 소설은 더욱 더 매력 없다는.”
이 문제가 고난도인 이유:
알림 1: 저는 이 문제의 답이 C, D라고 생각합니다. 중국 GRE 싸이트들 중 일부는 답을 A, D라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대표적인 중국 GRE 싸이트 gre.kmf.com는 13번 문제의 답을 C, D라고 주장합니다.
http://bbs.gter.net/thread-1891455-1-1.html
https://gre.kmf.com/question/12kbqj.html
강쌤: GPT-4도 이 문제의 답을 C, D라고 합니다. 마지막 부분에 첨부된 GPT-4의 해설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강쌤: 제 현강(2011~2018) 수강생들 중 일부 학생은 다음과 같이 답이 왜 C인지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선생님 스터디를 하다가 모르는 TC 문제가 생겨서 사진을 찍어 (안부글에) 올립니다ㅠㅠ 아무리 봐도 도저히 어디서 엘리트를 찾아야 할지.. 이해가 가지 않아서요ㅠㅠ 감사합니다.”
강쌤의 문제 분석:
강쌤: ‘연결어구’, ‘핵심어구’, ‘명사들의 관계’, ‘빈칸 힌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3. Some academic criticism of popular novels has been (i)__________ in character, being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wider the appeal, the more (ii)__________ the novel.
1) 연결어구 확인, 두 절의 관계는 같은 방향, 반대 방향, 또는 원인과 결과
분사구문 being based ~,
이중비교 the wider ~, the more ~
2) 핵심어구 확인:
(1) 주절: has been (i)__________ in character,
(2) 분사구문: the wider, the more (ii)_________
3) 명사들의 관계 확인:
Some academic criticism ↔ the appeal
4) 빈칸의 답은 답은 key word와 비슷한 의미이거나 반대 의미:
(1) 첫 빈칸은 둘째 빈칸의 의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둘째 빈칸부터 해결해야 한다.
(2) 센컴의 2분법을 지키려면 둘째 빈칸에는 appeal의 비슷한 의미 또는 반대 의미가 나와야 한다.
(3) ‘Some academic criticism ↔ the appeal’이고 ‘(i)__________ in character’이므로 첫 빈칸에는 ‘appeal’과 반대 방향의 ’비평가들의 부정적인 속성’을 나타내는 단어가 나와야 한다.
강쌤의 보기 분석:
강쌤: 위에서 다룬 내용을 보기 분석에 활용하겠습니다.
1) 13번 문제는 인과관계를 나타냅니다. 즉, 분사구문 앞에 있는 주절 ‘Some academic criticism of popular novels has been (i)________ in character’은 결과를 나타내고, 분사구문 ‘being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wider the appeal, the more (ii)________ the novel’은 원인을 나타냅니다. 또한, 이중비교에서 ‘the wider the appeal’은 원인을 나타내고, ‘the more (ii)__________ the novel’은 결과를 나타냅니다.
2) 첫 빈칸은 둘째 빈칸의 의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둘째 빈칸부터 해결해야 합니다. 이중비교 구문의 의미를 풀어 쓰면 다음과 같다.
As the appeal gets wider, the novel gets more (ii)_________.
3) 센컴의 2분법을 지키려면 둘째 빈칸에는 appeal의 비슷한 의미 또는 반대 의미가 나와야 합니다. accomplished(이루어진, 완성된, 학식이 깊은, 세련된)과 comprehensible(이해할 수 있는, 포함될 수 있는)은 appeal의 비슷한 의미도 반대 의미도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둘째 빈칸의 정답은 appeal의 반대 의미인 ⓓ undesirable(바람직하지 않은, 매력 없는)입니다.
4)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절 ‘Some academic criticism of popular novels has been (i)________ in character’은 결과를 나타내고, 분사구문 ‘being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wider the appeal, the more undesirable the novel’은 원인을 나타냅니다. 첫 빈칸에는 ‘소설의 매력이 대중들에게 널리 퍼질수록, 그 소설은 매력 없다’고 생각하는 비평가들의 속성이 나와야 합니다. 그런 속성은 rigorous(엄격한, 가혹한; 엄밀한, 정확한), exculpatory(무고한 죄를 벗겨주는, 해명이 되는, 변명의)와 아무 관련이 없으므로 이 두 단어들은 오답입니다.
5) 그런 속성은 elitist (엘리트주의의)와 관련되므로 ⓒ elitist가 정답입니다. 왜냐하면 elitist는 소수의 엘리트들이 무능한 일반 대중을 지배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즉, 13번 문제에서 엘리트주의 비평가들은 일반 대중을 무식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일반 대중에게 인기 있는 소설들을 가치 없는 것들이라 생각합니다.
GPT-4의 해설
이 GRE Text Completion 문제를 살펴보면, 학술적인 비판이 대중소설에 대해 어떠한 특성을 가지며, 대중소설이 넓은 대중에게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지를 살펴보는 문제입니다.
문제를 해석하면, “어떤 학술적 비판은 인기 있은 소설에 대해 (i)__________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것이 더 넓은 대중에게 호소력이 있다고 가정하여, 소설이 더 (ii)__________ 하다고 본다”는 내용입니다.
첫 번째 공백 (i) 에는 대중소설에 대한 학술적 비판의 성격을 설명하는 단어가 들어가야 합니다. 선택지를 살펴보면,
ⓐ rigorous (철저한)
ⓑ exculpatory (면책하는)
ⓒ elitist (엘리트주의의)
문장의 흐름을 고려하면, 학술적 비판이 대중소설을 엘리트주의의 시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i)에는 ‘elitist’가 들어갑니다.
두 번째 공백 (ii)에는 대중소설이 넓은 대중에게 호소력이 있을수록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지를 나타내는 단어가 들어가야 합니다. 선택지를 살펴보면,
ⓓ undesirable (바람직하지 않은)
ⓔ accomplished (완성된)
ⓕ comprehensible (이해하기 쉬운)
엘리트주의의 학술적 비판은 대중소설이 넓은 대중에게 호소력이 있을수록 그 소설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볼 것입니다. 따라서 (ii)에는 ‘undesirable’가 들어갑니다.
요약하면, 정답은 (i)에 ‘elitist’, (ii)에 ‘undesirable’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