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 GRE TC/SE에 나오는 이중 비교 구문 |
강쌤: 오늘 수업에서는 이중 비교 구문에 대해 살펴볼 것입니다.
초롱: 비교 구문은 어떤 것입니까?
강쌤: 비교 구문이란 비교 대상들 사이의 공통적인 성질의 상대적인 정도 차이를 서로 비교하는 것을 말합니다. 정도 차이에는 동등, 우등, 열등이 있고, 비교 형태에는 원급 비교, 비교급 비교, 최상급 비교가 있습니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비교형태 정도 |
원급 |
비교급 |
최상급 |
동등 비교 |
as ~ as (~만큼 ~한) |
||
우등 비교 |
-er than more ~ than (~보다 더 ~한) |
the -est + 명사 the most ~ + 명사 (가장 ~한) |
|
열등 비교 |
not as[so] ~ as (~만큼 ~못한) |
less ~ than (~보다 덜 ~한) |
the least ~ + 명사 (가장 덜 ~한) |
강쌤: 비교 구문은 상대적인 정도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원급, 비교급, 최상급에 쓰이는 형용사/부사는 정도를 나타내는 말 (degree words)이라야 합니다.
(a) Tom runs as quickly as Jane. <동등 비교>
(Tom은 Jane만큼 빨리 달린다)
(b) Tom does not run as quickly as Jane. <열등 비교>
(Tom은 Jane만큼 빨리 달리지 못한다)
(c) Tom is older than Jane. <우등 비교>
(Tom은 Jane보다 더 나이가 많다)
(d) Tom is less old than Jane. <열등 비교>
(Tom은 Jane보다 덜 나이가 많다)
(e) Jane is the smartest student in her class. <우등 비교>
(Jane은 그녀의 반에서 가장 똑똑한 학생이다)
(f) Jane is the least smart student in her class. <열등 비교>
(Jane은 그녀의 반에서 가장 덜 똑똑한 학생이다)
1. 이중 비교 용법
강쌤: 이번 수업에서 우리는 비교급 비교에 관한 다음 3가지 사항들을 살펴볼 것입니다.
첫째, 이중 비교의 어순
둘째, 이중 비교 구문에서 be동사의 생략
셋째, 이중 비교 구문에서 타동사의 목적어 위치
1) 이중 비교의 어순
강쌤: 이중 비교의 형태는 <The + 비교급 + 주어 + 동사, the + 비교급 + 주어 + 동사>이고 의미는 “~하면 할수록 더욱 더 ~하다”는 뜻입니다. <The 비교급>이 문장 맨 앞에 나오고 있는 점에 주목하세요.
(a) The greater the demand is, the higher the price is.
(수요가 더 클수록, 그 만큼 가격은 더욱 더 높다)
(b) The more we learn about the love, the more mysterious it is.
(우리가 사랑에 대해 더 많이 알수록, 그것은 더욱 더 수수께끼 같다)
초롱: 이중 비교의 형태에서 왜 2개의 절의 어순이 같아야 합니까?
강쌤: 이중 비교는 조건 비교로서 2개의 절이 연관을 맺기 때문입니다. 앞 절이 조건절에 해당되고, 뒤 절이 주절에 해당됩니다.
초롱: 왜 2개의 절을 연결하는 연결사는 없습니까?
강쌤: 앞 절의 "The"는 정관사가 아니라 관계부사 that의 축약형입니다. 이중 비교의 원래 형태로 ‘The’ 대신에 관계부사 ‘that이 쓰였다고 합니다.
초롱: 왜 ‘the + 비교급’이 문장 맨 앞에 배치되는 것입니까?
강쌤: ‘the + 비교급’이 문장 맨 앞에 배치되는 것은 주제어로 쓰이기 위해서입니다. 문장 맨 앞 자리는 관심을 끄는 곳으로서 주제어 자리입니다.
초롱: ‘the’는 보통 최상급 앞에 쓰이는데 이중 비교 구문에서 ‘the’가 비교급 앞에 쓰이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강쌤: 2개의 ‘the’는 부사로서 비교급을 수식합니다. 앞에 쓰인 ‘The’는 관계부사 ‘That’의 축약형으로서 ‘~정도만큼’이라는 뜻이고 뒤에 쓰인 ‘the’는 지시부사 ‘that’의 축약형으로서 ‘그만큼’이라는 뜻입니다.
초롱: 이중 비교는 비교급 구문인데도 ‘than절’이 없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강쌤: ‘than now’가 문장 중에 암시돼 있기 때문에 따로 나타낼 필요가 없어서 생략된 것입니다.
초롱: ‘비교급’은 형용사나 부사입니다. 원래 위치는 어디입니까?
(c) The more the relative humidity rises, the worse the heat affects us.
(상대 습도가 더 많이 올라갈수록, 그 열은 더 나쁘게 우리에게 영향을 미친다)
강쌤: ‘비교급’의 원래 위치는 동사 뒤입니다. (c)에서 ‘more’의 원래 위치는 동사 ‘rises’ 뒤입니다. ‘more’는 “더 많이”라는 의미의 부사로서 동사 ‘rises’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worse’의 원래 위치는 술부 ‘affects us’ 뒤입니다. ‘worse’는 “더 나쁘게”라는 의미의 부사로서 동사 ‘affects’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강쌤: 다음 예문들의 빈칸에 알맞은 것은 무엇일까요?
(d) The lower the stock market falls, __________.
↗ <the price of gold rises higher>인가,
<the higher the price of gold rises>인가?
(주식 시장이 더 낮게 떨어질수록, 금 가격은 더 높게 올라간다)
(e) The larger __________, the higher its freezing temperature is.
↗ <a drop of water has>인가, <a drop of water is>인가?
(물방울이 더 클수록, 그것의 어는 온도는 더 높다)
초롱: (d)의 정답은 <the higher the price of gold rises>이고, (e)의 정답은 <a drop of water is>입니다.
강쌤: 그렇죠. (d)에서 <The 비교급>인 ‘The lower’가 앞에 주어졌으므로 빈칸에 <the 비교급>이 나와야 합니다. 정답은 <the higher the price of gold rises>이죠. (e)에서 <a drop of water has>를 빈칸에 대입하면 비교급 ‘larger’의 원래 위치가 동사 ‘has’ 뒤이므로 맞지 않습니다. 정답은 <a drop of water is>이죠. <a drop of water is>를 빈칸에 대입하면 ‘larger’는 ‘is’의 보어가 될 수 있습니다.
2) 이중 비교 구문에서 be동사의 생략
강쌤: 이중 비교 구문에서 동사가 be동사이면 생략될 수 있습니다. 이 때 이중 비교의 형태는 <The + 비교급 + 명사어구, the + 비교급 + 명사어구>가 됩니다.
초롱: 동사가 be동사일 때 생략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강쌤: 혼동의 여지가 없기 때문입니다.
초롱: 왜요?
강쌤: 다음 예문들에서 그 이유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a) The greater the demand (is), the higher the price (is).
(수요가 더 클수록, 그 만큼 가격은 더욱 더 높다)
강쌤: (a)에서 비교급 "greater", "higher"의 품사는 형용사입니다. 이것들의 원래 위치는 ‘is’ 다음이고, 역할은 보어입니다. ‘is’는 “~이다”라는 특별하지 않은 의미를 가진 불완전 자동사이므로 생략되어도 혼동의 여지가 없습니다.
(b) The more precise a writer's words, the more effective the communication.
(어떤 작가의 말들이 더 정확할수록, 의사소통은 더 효과적이다)
강쌤: (b)에서 동사가 없습니다. 이와 같이 이중 비교 구문에서 동사가 없다면 be동사가 생략된 것이라고 유추해도 됩니다.
강쌤: 다음 예문들의 빈칸에 알맞은 것은 무엇일까요?
(c) The higher the speed of a fluid gas, __________ the pressure.
↗ <the lower is>인가, <the lower>인가?
(유체 가스의 속도가 더 높을수록, 그 압력은 더 낮다)
초롱: (c)의 정답은 <the lower>입니다.
강쌤: 그렇죠. (c)에서 <the lower is>를 빈칸에 대입하면 주어인 "the pressure"가 동사 "is"보다 뒤에 있으므로 맞지 않습니다. 정답은 <the lower>이죠. <the lower>를 빈칸에 대입하면 ‘gas’ 다음에 ‘is’가 생략됐고, ‘pressure’ 다음에 ‘is’가 생략됐습니다.
(d) The higher the standard of living and the greater the national wealth, __________.
↗ <the greater amount of paper is used>인가,
<the greater the amount of paper used>인가?
(생활수준이 더 높을수록 그리고 국가의 부가 더 클수록, 사용되는 종이의 양은 더 크다)
초롱: (d)의 정답은 <the greater the amount of paper used>입니다.
강쌤: 그렇죠. (d)에서 문제를 푸는 열쇠는 문장 맨 앞에 있는 ‘The + 비교급’과 ‘and’ 뒤의 ‘the + 비교급’입니다. ‘living’과 ‘and’ 사이에 ‘is’가 생략됐고, ‘wealth’ 다음에 ‘is’가 생략됐습니다. 빈칸에 <the greater amount of paper is used>를 대입하면 비교급의 원래 위치는 동사 뒤라야 합니다. 하지만 ‘greater’는 ‘is used’ 뒤에서 보어가 될 수 없으므로 오답입니다. 정답은 <the greater the amount of paper used>이죠. <the greater the amount of paper used>를 빈칸에 대입하면 ‘greater’는 생략된 동사 ‘is’ 뒤에서 보어로 쓰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used(사용된)’는 형용사로서 앞에 나온 ‘the amount of paper’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e) __________ in terms of decoration and manufacture, the more developed early cultures.
↑ <The more advanced pottery is>인가,
<The more advanced the pottery>인가?
(도자기가 장식과 제조에서 더 발전돼 있을수록, 초기 문화들은 더욱 더 발전돼 있다)
초롱: (e)의 정답은 <The more advanced the pottery>입니다.
강쌤: 그렇죠. (f)에서 <The more advanced pottery is>를 빈칸에 대입하면 ‘is’의 보어가 없습니다. 정답은 <The more advanced the pottery>이죠. ‘the pottery’ 뒤에 ‘is’가 생략된 형태입니다.
3) 이중 비교 구문에서 타동사의 목적어 위치
강쌤: 이중 비교 구문에서 타동사의 목적어는 주어보다 앞에 쓰여서 <The + 비교급 + 목적어 + 주어 + 타동사, the + 비교급 + 주어 + 동사> 순서가 됩니다.
초롱: 왜 타동사의 목적어가 주어보다 앞에 쓰이는 것입니까?
강쌤: 왜냐하면 타동사의 목적어는 비교급의 수식을 받을 경우에 비교급 바로 다음에 쓰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a) The more money we have, the more money we want
(우리가 더 많은 돈을 가지면 가질수록, 우리는 더 많은 돈을 원한다)
강쌤: (a)에서 ‘more’의 품사는 ‘money’를 수식하는 형용사이고, ‘more money’의 원래 위치는 각각 타동사 ‘have’, ‘want’ 뒤입니다. 타동사 뒤에 있던 목적어 ‘more money’가 주제어로 쓰이기 위해서 주어보다 앞으로 이동했습니다.
(b) The higher the temperature of a molecule, the more energy it has.
(분자의 온도가 높을수록, 그것은 더 많은 에너지를 가진다)
강쌤: (b)에서 ‘higher’는 생략된 ‘is’의 보어입니다. ‘more’의 품사는 ‘energy’를 수식하는 형용사이고, ‘more energy’의 원래 위치는 각각 타동사 ‘has’ 뒤입니다. 타동사 뒤에 있던 목적어 ‘more energy’가 주제어로 쓰이기 위해서 주어보다 앞으로 이동했습니다.
강쌤: 다음 예문들의 빈칸에 알맞은 것은 무엇일까요?
(c) Generally, the thicker a mammal's skin is, the less hair __________.
↗ <has it>인가, <it has>인가?
(일반적으로 포유류의 피부가 더 두꺼울수록, 그것은 더 적은 털을 가진다)
(d) The higher the content of carbon dioxide in the air, __________.
↗ <the more heat it is retained>인가, <the more heat it retains>인가?
(이산화탄소의 함유량이 공기 중에 더 높을수록, 그것은 더 많은 열을 보유한다)
초롱: (c)의 정답은 <it has>이고, (d)의 정답은 <the more heat it retains>입니다.
강쌤: 그렇죠. (c)에서 <has it>을 빈칸에 대입하면 ‘has’의 주어가 ‘hair’가 되어 의미가 맞지 않습니다. 정답은 <it has>이죠. <it has>를 빈칸에 대입하면 ‘it’이 ‘has’의 주어이고, ‘hair’가 ‘has’의 목적어입니다. (d)에서 <the more heat it is retained>를 빈칸에 대입하면 ‘more heat’의 역할이 없습니다 정답은 <the more heat it retains>이죠. <the more heat it retains>를 빈칸에 대입하면 ‘more heat’은 ‘retains’의 목적어입니다.
2. 이중 비교 구문을 포함하는 GRE Text Completion 문제들
강쌤: 다음 1번 Text Completion 문제는 분사구 ‘frequently held by novice writers’, 콜론(:), 이중 비교 구문 ‘the more convoluted ~, the more ___________’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1. A misconception frequently held by novice writers is that sentence structure mirrors thought: the more convoluted the structure, the more ___________ the ideas.
ⓐ |
complicated |
ⓑ |
inconsequential |
ⓒ |
elementary |
ⓓ |
fanciful |
ⓔ |
unconcealed |
강쌤: 1번 문제에서 콜론(:) 앞 뒤 내용은 같은 속성을 나타내야 합니다. 콜론 앞의 내용은 ‘문장 구조가 생각을 반영한다’는 것이므로 콜론 뒤에도 이와 비슷한 내용이 나와야 합니다. 콜론 뒤의 이중 비교 구문에서 명사 ‘structure’ 뒤에 ‘is’가 생략됐고, 명사 ‘ideas’ 뒤에 ‘are’가 생략됐습니다. 이중 비교 구문에서 앞 절 ‘the more convoluted the structure’는 원인을 나타내고 뒤 절 ‘the more ___________ the ideas’는 결과를 나타냅니다. 빈칸의 정답은 무엇일까요?
초롱: complicated입니다.
강쌤: 그렇죠. 빈칸의 정답은 ‘ⓐ complicated(복잡한, 뒤얽힌)’입니다. 아래 해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석: “잘못된 개념은 / 초보 작가들에 의해 빈번하게 취해진 / 문장 구조는 사상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구조가 복잡하면 복잡할수록, 그 사상들은 더욱 더 복잡해진다는.”
강쌤: 다음 2번 Text Completion 문제는 분사구문 ‘being based on the assumption’과 이중 비교 구문 ‘the wider the appeal, the more __________ the product’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2. Initially, most intellectual criticism of mass culture was negative in character, being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wider the appeal, the more __________ the product.
ⓐ |
desirable |
ⓑ |
popular |
ⓒ |
outlandish |
ⓓ |
superfluous |
ⓔ |
inferior |
강쌤: 2번 문제에서 분사구문 ‘being based on the assumption’은 원인을 나타내고 주절 ‘Initially, most intellectual criticism of mass culture was negative in character’은 결과를 나타냅니다. 주절의 핵심어는 ‘negative in character (비평의 속성에서 부정적)’이므로 그 원인을 나타내는 ‘the assumption’’ 즉, 이중 비교 구문은 부정적이라야 합니다. 그래서 빈칸에는 부정적인 의미가 나와야 합니다. 참고로, 이중 비교 구문에서 명사 ‘appeal’ 뒤에 ‘was’가 생략됐고, 명사 ‘product’ 뒤에 ‘was’가 생략됐습니다. 빈칸의 정답은 무엇일까요?
초롱: inferior입니다.
강쌤: 그렇죠. 빈칸의 정답은 ‘ⓔ inferior(하등의, 질 떨어지는)’입니다. 아래 해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석: “처음에, 대중 문화의 대부분의 지적인 비평은 속성에서 부정적이었다, / 전제에 바탕을 둔 채 / 매력이 폭 넓을수록, 더욱 더 그 제품의 질은 떨어진다는.”
강쌤: 다음 3번 Text Completion 이중 비교 구문 ‘the more investment choices a plan offers, the less likely they are to participate in it’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3. Schwartsz pointed out in his recent book that a __________ of choices can make people lethargic. He found that the more investment choices a plan offers, the less likely they are to participate in it.
ⓐ |
surfeit |
ⓑ |
decline |
ⓒ |
stabilization |
ⓓ |
scarcity |
ⓔ |
range |
강쌤: 3번 문제에서 첫 문장에서 that절은 무생물 주어 구문 즉, ‘무생물 주어 + 타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 구문입니다. 이 경우에 주어는 원인을 나타내고 술부는 결과를 나타냅니다. 둘째 문장의 이중 비교 구문에서 앞 절은 원인을 나타내고 뒤 절은 결과를 나타냅니다. 두 문장은 서로 같은 방향의 의미를 나타내므로 ‘a ________ of choices ≡ the more investment choices’이고 ‘make people lethargic ≡ th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it’임을 알 수 있습니다. 빈칸에는 ‘more’와 비슷한 의미가 나와야 합니다. 빈칸의 정답은 무엇일까요?
초롱: surfeit입니다.
강쌤: 그렇죠. 빈칸의 정답은 ‘ⓐ surfeit(과다, 많은 수/양)’입니다. 아래 해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석: “Schwartsz는 그의 최근 책에서 지적했다 / 많은 수의 선택들은 사람들을 무기력하게 만들 수 있다고. 그는 발견했다 / 어떤 계획이 더 많은 투자 선택들을 제공할수록, 그들은 그것에 참여할 가능성이 적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