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 Reading 문제 풀이 공식 1.1. – 논쟁 방식(1) |
강쌤: 지난 시간에 우리는 GRE Reading에서 다음과 같은 빠르게 읽는 3가지 비법들 중에서 2가지를 다뤘습니다.
첫째, 첫 문장을 읽고 주제를 파악하라. 특히, <동사 + 보어/목적어>에 주목하라.
둘째, 첫 두 세 문장을 읽고 글의 전개 방식을 예측하라.
셋째, 전개 방식에 맞춰 글의 내용을 요약하라.
강쌤: 오늘은 빠른 독해 비법들 중 세 번째인 “전개 방식에 맞춰 글의 내용을 요약하라”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글의 전개 방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죠?
초롱: 전개 방식에는 논쟁 방식, 비교 방식, 설명문 방식이 있습니다.
강쌤: 그렇죠. 오늘은 전개 방식들 중에서 첫 번째인 ‘논쟁 방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논쟁 방식
1) 논쟁 방식임을 알아차리는 방법
초롱: 선생님, 첫 두 세 문장을 읽고 글의 전개 방식이 논쟁 방식임을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강쌤: 문장 중에 시간을 언급하는 어구나 반대 방향을 나타내는 접속부사/문장부사를 확인하면 됩니다.
초롱: 왜 시간을 언급하는 어구가 논쟁 방식에 쓰이는 것입니까?
강쌤: 기존의 이론에 반대해서 새로운 주장을 펴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면, traditionally (전통적으로), formerly(이전에), initially(처음에), early(일찍이), conventional(전통적인), long maintained(오래 유지됐다) 등은 기존의 주장을 나타내고, recently(최근에)는 새 이론을 언급할 때 쓰입니다. 이런 어구들을 주목하면 글의 전개 방식이 논쟁 방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초롱: 반대 방향을 나타내는 접속부사/문장부사는 어떤 것들입니까?
강쌤: 반대 방향을 나타내는 접속부사는 however(하지만), but(그러나), yet(아직은), nevertheless(~에도 불구하고)이고, 문장부사는 unfortunately(불행하게도)입니다.
초롱: 왜 반대 방향을 나타내는 접속부사/문장부사가 논쟁 방식에 쓰이는 것입니까?
강쌤: 반대 방향을 나타내는 접속부사/문장부사는 앞 문장에 제시된 내용과 다른 것을 제시할 때 쓰이는 어구들이기 때문입니다.
논쟁 방식임을 알아차리는데 도움이 되는 어구들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시간을 언급하는 어구 |
반대 방향의 연결어구 |
|
과거 의미 |
often(종종), usually(보통은), traditionally(전통적으로), formerly (이전에), initially(처음에), early(초기에), conventional(전통적인), long maintained(오래 유지됐다), until(~까지), it is frequently assumed (빈번하게 가정된다), common claim (흔한 주장), the dominant view(그 지배적인 견해), the common belief (흔한 믿음) 등 |
however(하지만), but(그러나), yet(아직은), nevertheless(~에도 불구하고), unfortunately (불행하게도) 등
|
현재 의미 |
recently(최근에) |
2) 논쟁 방식의 글의 구조
초롱: 논쟁 방식의 글은 어떤 구조를 갖습니까?
강쌤: 논쟁 방식의 글은 단문 독해의 경우에 주로 하나의 단락이 주어집니다. 논쟁 방식의 글은 다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첫째, 저자가 기존 이론을 공격하며 새 이론을 제시하는 방식
둘째, 제3자가 기존 이론을 공격하며 새 이론을 제시하는 방식
(1) 저자가 기존 이론을 공격하는 경우
초롱: 저자가 기존 이론을 공격하는 경우의 글은 어떤 구조를 가집니까?
강쌤: 저자가 기존 이론을 공격하는 경우에 글의 구조는 다음 3가지 내용으로 전개됩니다.
첫째, 주제가 나오고 이에 대한 기존 이론 / 기존 관점(old viewpoint) 제시.
둘째, 그 다음에 이를 비판하는 저자의 새 이론 / 새 관점(new viewpoint) 제시.
셋째, 새 이론 / 새 관점에 대한 근거 제시.
초롱: 저자가 기존 이론을 공격하는 경우의 글의 구조를 어떻게 활용하면 됩니까?
강쌤: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요약’할 때 활용하고 main idea, primary purpose, organization 문제 풀 때 적용하면 됩니다.
초롱: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요약할 때 논쟁 방식의 글의 구조를 어떻게 활용하면 됩니까?
강쌤: 우선, 주제 내용을 확인하고 논쟁 방식임을 알려주는 어구를 확인한 후 기존 이론과 저자의 새로운 이론의 논쟁 내용을 확인하세요. 마지막으로, 새로운 이론의 근거를 확인하세요.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제 확인 |
xxx |
|
전개 방식 |
기존 이론과 저자의 새 이론의 충돌 |
|
논쟁 내용 |
기존 이론 |
xxx |
저자의 새 이론 |
xxx (근거: xxx) |
초롱: main idea, primary purpose, organization 문제 풀 때 논쟁 방식의 글의 구조를 어떻게 활용하면 됩니까?
강쌤: main idea 문제 또는 primary purpose 문제를 풀 때 다음 공식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공식 1-1: 의견 차이를 나타내는 논쟁 방식의 글에서 저자가 기존 이론을 공격할 때 main idea / primary purpose 문제의 답은 attack(공격하다), challenge(~의 진술, 정당성을 의심하다), correct(고치다, 잘못을 지적하다), counter(논박하다, 반대하다), criticize(비판하다, 흠을 찾다), doubt(의심하다, ~이 아니라고 생각하다), question(~에 대해 의심을 품다, ~에 이의를 제기하다), suggest an alternative to a traditional hypothesis(전통적인 가설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다), suggest a significant modification(상당한 수정을 제시하다)가 포함된 보기이다.
초롱: 논쟁 방식의 글에서 저자가 기존 이론을 공격할 때 main idea나 main purpose 문제의 답이 위 동사들을 포함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강쌤: “공격하다”의 의미가 동사에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즉, 저자와 기존 연구자들 사이에 ‘논쟁한다’는 의미는 attack(공격하다), challenge(~의 진술, 정당성을 의심하다), correct(고치다, 잘못을 지적하다), counter(논박하다, 반대하다), criticize(비판하다, 흠을 찾다), doubt(의심하다, ~이 아니라고 생각하다) 등으로 나타납니다. 다음 예제를 통해 공식 1-1의 활용 방법을 확인하겠습니다.
Researchers often ignore the fact that music of African Americans played an essential part in the maintaining of traditional African culture in the United States. They recognize that slavery damaged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of African Americans but they fail to see the importance of music in preserving other African cultural elements. African music was established on every aspect of life in which it was an inseparable part. In African culture music was widespread, affecting all stages of life, including birth, job, and death. Therefore, it became a vital way of maintaining the culture after the disruptions of slavery. |
1. The primary purpose of the passage is to
ⓐ evaluate the influence that slavery had on some African cultural elements ⓑ examine the effort of researchers to analyze the effect of African music on other art forms ⓒ criticize the disregard of researchers for the importance of music in African culture ⓓ investigate the methods by which people try to maintain their culture against repression ⓔ contrast the comparative significance of music with that of other art forms
|
강쌤: 논쟁 방식임을 알려주는 어구는 어떤 것일까요?
초롱: “often”입니다.
강쌤: 그렇죠. 더 정확하게 말하면 “often ignore(종종 무시한다)”입니다. 첫 문장부터 기존 이론에 대한 저자의 공격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이런 공격적인 내용은 논쟁 방식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저자는 연구자들을 공격한 후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제 확인 |
흑인 문화에서 음악의 역할 |
|
전개 방식 |
기존 이론과 저자의 새 이론의 충돌 |
|
논쟁 내용 |
Researchers |
흑인 문화에서 음악의 역할을 종종 무시한다 |
저자 |
흑인 문화에서 음악의 역할이 아주 크다고 생각한다. (근거: 흑인 음악은 삶의 모든 측면에 기반한다. 음악은 흑인 문화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방법이 되었다) |
강쌤: 자, 이제 문제를 확인하기로 하죠. main idea나 main purpose 문제에 답할 때 보기에서 어떤 품사에 주목해야 하나요?
초롱: 동사에 주목해야 합니다.
강쌤: 그렇죠. 보기에서 “공격하다” 계통의 동사를 찾으면 됩니다. 위 문제에서의 정답과 오답 및 그 이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보기 |
정답/오답 |
정답/오답의 이유 |
ⓐ |
오답 |
노예 상태가 몇몇 아프리카의 문화 요소들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는 글이 아니다. |
ⓑ |
오답 |
아프리카 음악이 다른 예술 형태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위 글에서 언급조차 안되고 있다. |
ⓒ |
정답 |
아프리카 문화에서 음악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자들의 무시를 공격하는 글이므로 정답이다. 특히, criticize (비판하다)를 보면 정답 후보임을 알 수 있다. |
ⓓ |
오답 |
억압에 대항하여 그들의 문화를 유지하려는 시도에 대해서는 위 글에서 언급조차 안되고 있다. |
ⓔ |
오답 |
음악의 중요성과 다른 문화 형태의 중요성을 대조하는 내용은 위 글에서 언급조차 안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