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이미지

커뮤니티

[문장구조 분석 #24] 주어로 쓰인 동명사구, ‘접속사 + 분사구문’, because, 세미콜론(;), 비교급 비교

 

24. 주어로 쓰인 동명사구, ‘접속사 + 분사구문’, because, 세미콜론(;), 비교급 비교

 

 

강쌤: 다음 24번 Text Completion 문제에는 주어로 쓰인 동명사구, ‘접속사 + 분사구문’ 용법, because, 세미콜론(;), 비교급 비교 용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초롱: 이런 구문들을 아는 것이 문제 푸는데 도움이 되나요?

강쌤: 물론이죠. 동명사구와 분사구문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은 아래 준동사 구문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5787458&memberNo=642432

 

24. Nurturing the Royal Ballet's artistic growth while preserving its institutional stability has been difficult, because the claims of the latter seem inescapably to (i)_________ development; obviously, attaining artistic success is simpler than (ii)_________ it.

 

Blank (i)

 

Blank (ii)

inhibit

 

resurrecting

modify

 

perpetuating

supplement

 

appreciating

 

 

단어 nurture(키우다, 양육하다), preserve(보호하다, 보존하다, 유지하다), institutional(제도적인, 규격화된, 조직화된), inescapably(회피할 없이, 불가피하게), inhibit(억제하다, 억누르다), modify(모양을 바꾸다, 고치다, 수정하다), supplement(보충하다, 보완하다), resurrect(되살리다, 부활시키다), perpetuate(영구화하다, 영속하게 하다), appreciate(정당하게 평가하다, 진가를 인정하다, 이해하다)

 

해석 Royal Ballet의 예술적 성장을 키우는 것은 / 그것의 조직화된 안정을 유지하는 동안 / 어렵다, / 왜냐하면 후자의 요구들은 불가피하게 발전을 ________하는 것 같기 때문에; 명백하게, 예술적 성공을 거두는 것은 그것을 ________하는 것보다 더 단순하다.”

 

 

강쌤: 24번 문제에 포함된 첫 번째 문법은 주어로 쓰이는 동명사구 용법입니다.

 

24. Nurturing the Royal Ballet's artistic growth while preserving its institutional stability has been difficult, because the claims of the latter seem inescapably to (i)___________ development; obviously, attaining artistic success is simpler than (ii)__________ it.

 

강쌤: ‘Nurturing the Royal Ballet's artistic growth와 ‘attaining artistic success동명사구로서 주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초롱: 선생님, ‘Nurturing the Royal Ballet's artistic growth와 ‘attaining artistic success를 분사구로 볼 수 없나요?

강쌤: 좋은 질문입니다. 분사구가 되려면 아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사구 뒤에 콤마(comma)가 나와야 하고, 그 뒤에 수식 받는 명사가 나와야 합니다. 콤마 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5715259&memberNo=642432

 

강쌤: 24번에서 ‘Nurturing the Royal Ballet's artistic growth’ 뒤에 콤마가 없고 수식 받는 명사도 없습니다. 또한, ‘attaining artistic success’ 뒤에도 콤마가 없고 바로 뒤에 명사가 아니라 동사가 나오고 있습니다.

 

(a) Wearing dark glasses, the driver did not see the obstacle.

(검은 안경을 끼고 있던, 그 운전사는 그 장애물을 보지 못했다)

 

 

강쌤: 24번 문제에 포함된 두 번째 문법은 ‘접속사 + 분사구문’ 용법입니다.

 

24. Nurturing the Royal Ballet's artistic growth while preserving its institutional stability has been difficult, because the claims of the latter seem inescapably to (i)_________  development; obviously, attaining artistic success is simpler than (ii)_________ it.

 

강쌤: 원래 접속사 뒤에는 절(clause)가 나와야 하는데 구(phrase)인 분사구문이 나오고 있습니다. 어색한 표현이죠.

초롱: 어색한 표현이 왜 쓰이는 것입니까?

강쌤: 분사구문의 의미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접속사를 덧붙이는 것이죠. 분사구문은 접속사를 없애서 만든 형태이므로 부사절 의미로 해석해야 할 때 어떤 접속사를 넣어 해석해야 하느냐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다음 (c)에서 “speaking in English”는 when 대신에 because, if, although 등을 넣어 해석해도 의미가 통하게 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6세기 말에 분사구문 앞에 접속사를 삽입하는 용법이 생겨났다고 합니다.

 

(b) I often make mistakes when I speak in English.

= I often make mistakes speaking in English.

I often make mistakes when speaking in English.

(나는 종종 실수들을 한다 / 영어로 말할 때)

 

초롱: 선생님, 접속사 다음에 절이 아니라 구가 나오는 게 말이 됩니까?

강쌤: (웃으며) 제가 영문법을 가르칠 때 가장 괴로운 순간이 바로 이 부분입니다. 분사구문을 만들 때부터 형용사인 분사를 갖다 쓰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보니 <접속사 + 분사구문>, <독립 분사구문> 같은 이해할 수 없는 형태를 만들어내게 됩니다. 접속사 다음에 현재분사나 과거분사가 나오는 경우는 그 나마 낫습니다. 접속사 뒤에 형용사가 나올 때 당황스럽고 명사가 나올 때는 그저 황당합니다.

 

(c) If it is caught young, a wild animal can be trained.

= (Being) caught young, a wild animal can be trained.

If caught young, a wild animal can be trained.

(만일 어려서 잡힌다면, 야생동물은 훈련될 수 있다)

 

초롱: 선생님, (c)에서 왜 being이 생략되는 겁니까?

강쌤: being이 생략되면 caught가 분사 형용사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접속사 + 분사구문>의 형태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형태가 바로 (b), (c)의 경우입니다. 24번도 (b)의 형태처럼 접속사 뒤에 현재분사가 나오고 있습니다.

 

24. Nurturing the Royal Ballet's artistic growth while preserving its institutional stability has been difficult, because the claims of the latter seem inescapably to (i)_________  development; obviously, attaining artistic success is simpler than (ii)_________ it.

 

강쌤: 24번에서 ‘while preserving its institutional stability는 주어인 동명사구 ‘Nurturing the Royal Ballet's artistic growth와 동사 ‘has been사이에 놓인 종속절입니다.

초롱: 주어와 동사 사이에 종속절이 놓일 수 있습니까?

강쌤: 가능합니다. 이런 경우에 보통, 아래 24-1처럼 주어와 동사 사이에 콤마를 씁니다. 하지만 혼동의 여지가 없을 때는 24번 문제에서처럼 콤마를 생략합니다.

 

24-1. Nurturing the Royal Ballet's artistic growth, while preserving its institutional stability, has been difficult, because the claims of the latter seem inescapably to (i)_________ development; obviously, attaining artistic success is simpler than (ii)_________ it.

 

 

강쌤: 24번 문제에 포함된 세 번째 문법은 종속절을 이끄는 because입니다. 24번에서 because가 이끄는 절은 원인을 나타내고 그 앞에 있는 주절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24. Nurturing the Royal Ballet's artistic growth while preserving its institutional stability has been difficult, because the claims of the latter seem inescapably to (i)_________ development; obviously, attaining artistic success is simpler than (ii)_________ it.

 

Blank (i)

 

Blank (ii)

inhibit

 

resurrecting

modify

 

perpetuating

supplement

 

appreciating

 

강쌤: 위 문제에서 because 앞 내용의 핵심 단어는 무엇일까요?

초롱: difficult입니다.

강쌤: 그렇죠. because 앞 내용은 “Royal Ballet의 예술적 성장을 키우는 것은 어렵다 / 그것의 조직화된 안정을 유지하는 동안이라는 뜻으로 부정적입니다. because절은 “왜냐하면 후자의 요구들은 불가피하게 발전을 ________하는 것 같기 때문에”라는 뜻으로 부정적인 의미라야 합니다. 첫 빈칸의 정답은 무엇일까요?

초롱: ’inhibit’입니다.

강쌤: 그렇죠. 첫 빈칸의 정답은 ‘ⓐ inhibit(억제하다, 억누르다)’입니다.

 

강쌤: 24번 문제에 포함된 네 번째 문법은 세미콜론(;)입니다. 세미콜론(;)은 콜론(:)과 함께 GRE TC와 SE에서 정말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colon(:)은 주로 “즉”이라는 뜻으로 동격어구나 동격절이 그 뒤에 나옵니다. 반면에, 세미콜론(;)은 접속사 and, but, because의 역할을 합니다.

 

(d) His play was an artificial work: both its laughter and its tears seemed false.

   (그의 연극은 부자연스런 작품이었다: 즉, 그것의 웃음과 눈물이 거짓 같았다)

 

(e) Fastening seat belts is obligatory in many states; thus, failure to wear them may result in fines. (안전 벨트를 매는 것은 많은 주들에서 의무적이다; 그리고 그래서 그것들을 매지 않는 것은 벌금을 야기할 수도 있다)

 

(f) Some volcanoes have been inactive for many years; others have erupted in recent years. (몇몇 화산들은 많은 해 동안 움직이지 않은 채로 있어왔다; 하지만 다른 화산들은 최근에 폭발했다)

 

(g) The essay lacks originality and freshness; it is quite trite.

   (그 에세이는 독창성과 생생함을 결여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아주 진부하니까)

 

초롱: GRE TC와 SE문제 풀 때 세미콜론(;)의 3가지 용법을 어떻게 구별하면 됩니까?

강쌤: GRE TC와 SE에서 세미콜론(;)은 주로 because의 의미로 쓰입니다. GRE TC와 SE에서 because의 의미와 and의 의미를 혼동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둘 다 같은 방향을 나타내니까요. GRE TC와 SE 문제를 잘 풀기 위해서는 세미콜론 앞, 뒤 내용이 반대 방향으로 전개되는 경우만 외우면 됩니다.

초롱: 세미콜론 앞, 뒤 내용이 반대 방향으로 전개되는 경우는 어떤 것입니까?

강쌤: 다음 3가지 경우입니다.

 

첫째, 에서 semicolon(;)은 but의 의미를 나타낸다.

둘째, 겉 모습을 나타내는 appear, apparently, seemingly 등과 실제 모습을 나타내는 actually, really, in fact와 함께 쓰이면 세미콜론은 but의 의미를 나타낸다.

셋째, <~ ; however / nevertheless>에서 세미콜론 앞, 뒤 내용은 반대 방향 나타낸다.

 

강쌤: 24번 문제에서 세미콜론(;)은 and의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세미콜론(;) 앞과 뒤는 같은 방향이라야 합니다.

 

 

강쌤: 24번 문제에 포함된 다섯 번째 문법은 비교급 비교 용법입니다.

 

24. Nurturing the Royal Ballet's artistic growth while preserving its institutional stability has been difficult, because the claims of the latter seem inescapably to (i)_________ development; obviously, attaining artistic success is simpler than (ii)_________ it.

 

Blank (i)

 

Blank (ii)

inhibit

 

resurrecting

modify

 

perpetuating

supplement

 

appreciating

 

강쌤: 24번에서 세미콜론(;) 앞과 뒤는 같은 방향을 나타내야 하기 때문에 ‘artistic growth ≡ development ≡ artistic success이라야 하고, ‘its institutional stability ≡ the latter (ii)_________이라야 합니다. 즉, 빈칸에는 ‘stability’와 비슷한 의미가 나와야 합니다. 둘째 빈칸의 정답은 무엇일까요?

초롱: perpetuating입니다.

강쌤: 그렇죠. 둘째 빈칸의 정답은 ‘ⓔperpetuating(영구화하는 것)’입니다. 아래 해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석 Royal Ballet의 예술적 성장을 키우는 것은 / 그것의 조직화된 안정을 유지하는 동안 / 어렵다, / 왜냐하면 후자의 요구들은 불가피하게 발전을 억제하는 것 같기 때문에; 명백하게, 예술적 성공을 거두는 것은 그것을 영구화하는 것보다 더 단순하다.”

 

 

 

  1. 목록
  2. 추천하기
  • 강쌤출판
  • |
  •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112길 45
  • |
  • 대표이사 강상흥
  • |
  • 사업자등록번호 507-96-00727
  • |
  • 통신판매업신고 제2018-서울강남-02776호
  • 고객센터 02-516-9887
  • |
  • 운영시간월~금 10:00 ~ 18:00 토, 일, 공휴일 휴무
  • |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gre_magujabi@daum.net
Copyrightⓒ 강쌤GRE. All rights reserved.
naverb6e1efc451202d7a7501e303d139c84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