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주어로 쓰인 동명사구, 긴 목적어와 전치사구의 도치, 관계대명사 that, 긴 목적어와 짧은 목적보어의 도치, 무생물주어 구문 |
강쌤: 다음 25번 Text Completion 문제에는 주어로 쓰인 동명사구, 긴 목적어와 짧은 전치사구의 도치, 관계대명사 that, 긴 목적어와 짧은 목적보어의 도치, 무생물주어 구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초롱: 이런 구문들을 아는 것이 문제 푸는데 도움이 되나요?
강쌤: 물론이죠. 이 구문들을 하나씩 문제에 적용해보겠습니다.
25. Having sufficient income of her own constituted for Alice (i)___________ independence that made possible a degree of a (ii)___________ in her emotional life as well.
Blank (i) |
|
Blank (ii) |
||
ⓐ |
material |
|
ⓓ |
security |
ⓑ |
profound |
|
ⓔ |
conformity |
ⓒ |
psychological |
|
ⓕ |
economy |
단어 constitute(구성하다, 제정하다, 설립하다, 임명하다, ~을 주다), as well(또한, 역시, ~도), material(물질의, 물질적인, 본질적인, 중요한), profound(깊은, 심오한), psychological(심리학의, 정신적인), security(안전, 안도감, 안심), conformity(유사, 일치, 적합, 순종), economy(경제, 절약)
해석 “그녀 자신의 충분한 소득을 가지는 것은 Alice에게 __________한 독립을 주었다 / 그 독립은 또한 어느 정도의 ________를 가능하게 했다 / 그녀의 정서적인 삶에서의.”
강쌤: 25번 문제에 포함된 첫 번째 문법은 주어로 쓰인 동명사구입니다.
25. Having sufficient income of her own constituted for Alice (i)___________ independence that made possible a degree of a (ii)___________ in her emotional life as well.
강쌤: 25번에서 ‘Having sufficient income of her own’는 동명사구로서 주어로 쓰이고 있습니다.
초롱: ‘Having sufficient income of her own’를 분사구로 볼 수는 없나요?
강쌤: ‘Having sufficient income of her own’이 분사구가 되려면 (a)에서처럼 그 뒤에 콤마가 나와야 하고 수식 받는 명사가 나와야 합니다. 콤마 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5715259&memberNo=642432
강쌤: 25번에서는 ‘Having sufficient income of her own’ 바로 뒤에 동사 ‘constituted’가 나오고 있기 때문에 ‘Having sufficient income of her own’는 주어로 쓰인 동명사구임을 알 수 있습니다.
(a) Wearing dark glasses, the driver did not see the obstacle.
(검은 안경을 끼고 있던, 그 운전사는 그 장애물을 보지 못했다)
강쌤: 25번 문제에 포함된 두 번째 문법은 긴 목적어와 전치사구의 도치입니다.
25. Having sufficient income of her own constituted for Alice (i)___________ independence that made possible a degree of a (ii)_____________ in her emotional life as well.
강쌤: 25번에서 동사 ‘constituted’는 “구성하다, 제정하다, 설립하다, 임명하다, ~을 주다)”라는 의미의 타동사입니다. ‘constituted’ 바로 뒤에 목적어가 나와야 하는데 전치사구 ‘for Alice’가 나오고 그 뒤에 명사어구인 ‘(i)_____________ independence’가 나오고 있습니다. . ‘constituted’의 목적어인 ‘(i)_____________ independence’와 전치사구 ‘for Alice’의 순서가 바뀌었습니다. 이런 것을 어순 도치라고 합니다.
초롱: 목적어인 ‘(i)_____________ independence’와 전치사구 ‘for Alice’의 순서가 바뀐 이유는 무엇입니까?
강쌤: 어순이 도치되는 주된 원인은 강조와 길이입니다. 문장에서 정보 비중이 높을수록 뒤에 배치하고, 상대적으로 긴 어구를 뒤에 배치합니다.
강쌤: 말하는 사람의 생각은 술부에서 비로소 분명해지므로 보통 문장의 뒷자리가 문장의 앞자리보다 더 중요하게 다루어집니다. 특히, 문장의 맨 끝은 정보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
초롱: 선생님, 왜 문장 뒤쪽이 앞쪽보다 정보 비중이 더 높습니까?
강쌤: 듣는 사람이나 읽는 사람이 ‘다음에 무엇이 나올까’ 기대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상기하라, 6.25!”, “사랑해요, LG!”에서 강조되는 것은 각각 "6.25", "LG"입니다. 이와 같이 중요한 요소를 뒷부분에 배열하는 원칙을 "end-focus" 원칙이라 합니다.
(b) First comes the music. (먼저 나온다. 그 음악이) <the music 강조>
(c) People depend to such a great extent on forests. <on forests 강조>
(사람들은 상당한 정도로 의존한다 / 숲들에)
강쌤: (b)에서는 the music이 강조되는 어구이고, (c)에서는 on forests가 강조되는 어구입니다. (b)에서 원래의 어순은
초롱: 상대적으로 긴 어구가 뒤에 배치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강쌤: 상대적으로 긴 어구는 문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뒤에 배치됩니다. 이러한 원칙을 end-weight 원칙이라 합니다. 이 원칙의 대표적인 경우는 <가주어-진주어> 구문과 <가목적어-진목적어> 구문입니다.
(d) It is important to choose good friends. <가주어-진주어 구문>
(그것은 중요하다 / 좋은 친구들을 고르는 것은)
(e) I believe it wrong to tell a lie. <가목적어-진목적어 구문>
(나는 그것이 나쁘다고 믿는다 / 거짓말하는 것은)
강쌤: 25번에서 타동사 ‘constituted’의 목적어는 분홍색으로 표시된 ‘(i)__________ independence that made possible a degree of a (ii)__________ in her emotional life as well’입니다. 목적어가 너무 길기 때문에 전치사구 ‘for Alice’와 어순을 바꾼 것입니다.
25. Having sufficient income of her own constituted for Alice (i)__________ independence that made possible a degree of a (ii)__________ in her emotional life as well.
강쌤: 어순을 바꾼 또 다른 이유는 25-1에서처럼 전치사구 ‘for Alice’를 문장 맨 끝에 배치하면 ‘for Alice’를 that절의 일부처럼 착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5-1. Having sufficient income of her own constituted (i)___________ independence that made possible a degree of a (ii)___________ in her emotional life as well for Alice.
강쌤: 25번 문제에 포함된 세 번째 문법은 관계대명사 that의 용법입니다
25. Having sufficient income of her own constituted for Alice (i)___________ independence that made possible a degree of a (ii)___________ in her emotional life as well.
강쌤: 25번에서 that 뒤에 동사 ‘made’가 나오기 때문에 우리는 ‘that’이 주격 관계대명사임을 알 수 있습니다.
강쌤: 25번 문제에 포함된 네 번째 문법은 긴 목적어와 짧은 목적보어의 도치입니다
25. Having sufficient income of her own constituted for Alice (i)___________ independence that made possible a degree of a (ii)___________ in her emotional life as well.
강쌤: 25번에서 타동사 ‘made’의 목적어 ‘a degree of a (ii)___________ in her emotional life’는 너무 길기 때문에 목적보어 ‘possible’ 뒤에 배치되고 있습니다.
강쌤: 25번 문제에 포함된 다섯 번째 문법은 무생물주어 구문입니다.
25. Having sufficient income of her own constituted for Alice (i)___________ independence that made possible a degree of a (ii)__________ in her emotional life as well.
초롱: 무생물주어 구문은 어떤 것입니까?
강쌤: 주어로 쓰인 무생물이 마치 생물처럼 그 대상에게 보이지 않는 힘을 작용하는 것을 무생물주어 구문이라고 합니다. 무생물주어 구문은 ‘무생물주어 + 타동사 + 목적어’로 구성됩니다. 무생물주어는 원인을 나타내고 타동사 이후는 결과를 나타냅니다. 무생물들 중에서 보이지 않는 힘을 나타낼 수 있는 무생물만 이 구문의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초롱: 왜요?
강쌤: 영향력이 없는 무생물은 목적어에게 힘의 작용을 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f) The heavy rain prevented us from going out.
(그 폭우는 우리가 외출하는 것을 방해했다)
(g) The cloud prevented us from going out.
(그 구름은 우리가 외출하는 것을 방해했다)
강쌤: (f)에서 ‘The heavy rain’은 ‘외출을 방해’할 수 있는 영향력이 있기 때문에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g)에서 ‘The cloud’는 ‘외출을 방해’할 수 있는 영향력이 없기 때문에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그래서 (f)는 자연스러운 문장이 되지만, (g)는 어색한 문장이 됩니다. 무생물주어 개념을 25번에 적용하면 쉽게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25. Having sufficient income of her own constituted for Alice (i)___________ independence that made possible a degree of a (ii)___________ in her emotional life as well.
Blank (i) |
|
Blank (ii) |
||
ⓐ |
material |
|
ⓓ |
security |
ⓑ |
profound |
|
ⓔ |
conformity |
ⓒ |
psychological |
|
ⓕ |
economy |
강쌤: 25번 문제를 다음과 같이 두 개의 문장으로 쪼갤 수 있습니다.
25-2. Having sufficient income of her own constituted (i)___________ independence for Alice.
25-3. (i)___________ independence made possible a degree of a (ii)___________ in her emotional life as well.
강쌤: 25-2에서 주어 ‘Having sufficient income of her own(그녀 자신의 충분한 소득을 가지는 것)’은 무생물로서 영향력을 발휘에서 ‘Alice에게 (i)______한 독립’을 줬습니다. 첫 빈칸의 정답은 무엇일까요?
초롱: material입니다.
강쌤: 그렇죠. 첫 빈칸의 정답은 ⓐ material (물질적인)입니다. ‘충분한 소득’은 사람들에게 물질적인 독립을 제공할 수 있죠. 25-3에서 주어 ‘(i)___________ independence(물질적인 독립)’은 무생물로서 영향력을 발휘에서 ‘또한 그녀의 정서적인 삶에서의 어느 정도의 _______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둘째 빈칸의 정답은 무엇일까요?
초롱: security입니다.
강쌤: 그렇죠. 둘째 빈칸의 정답은 ⓓ security(안전, 안도감)입니다. ‘물질적인 독립’은 사람들에게 정서적인 안도감을 줄 수 있죠. 아래 해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석 “그녀 자신의 충분한 소득을 가지는 것은 Alice에게 물질적인 독립을 주었다 / 그 독립은 또한 어느 정도의 안도감을 가능하게 했다 / 그녀의 정서적인 삶에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