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이미지

커뮤니티

[문장구조 분석 #26] as ~ as가 원인으로 쓰이는 용법, 가주어-진주어 구문

 

26. as ~ as가 원인으로 쓰이는 용법, 가주어-진주어 구문

 

 

강쌤: 다음 26번 Text Completion 문제에는 as ~ as가 원인으로 쓰이는 용법과 가주어-진주어 구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초롱: 이런 구문들을 아는 것이 문제 푸는데 도움이 되나요?

강쌤: 물론이죠. 이 구문들을 하나씩 문제에 적용해보겠습니다.

 

26. As oblivious as she was to the widespread dissatisfaction with her performance on the job, it is no wonder that she greeted the news of her dismissal with        ______.

 

disdain

impudence

astonishment

uncertainty

apathy

 

 

단어 oblivious( 잊는, 의식하지 못하는, 알아채지 못하는), widespread(광범위한, 널리 퍼진), no wonder(놀랄 일이 아니다, 당연하다), greet(인사하다, 맞이하다, 환영하다), dismissal(해고, 면직, 해고 통고), disdain(경멸하다), impudence(뻔뻔함, 무례함), astonishment(깜짝 놀람, 놀라운 ), apathy(냉담, 무관심, 무감정)

 

해석 “그녀가 직장에서 그녀의 업무에 대한 널리 퍼진 불만을 알아채지 못하는 만큼, 당연하다 / 그녀가 _________하게 그녀의 해고 소식을 맞이하는 것은.”

 

강쌤: 26번 문제에 포함된 첫 번째 문법은 원급 비교 as ~ as 구문이고 두 번째 문법은 가주어-진주어 구문입니다.

 

26. As oblivious as she was to the widespread dissatisfaction with her performance on the job, it is no wonder that she greeted the news of her dismissal with        ______.

 

강쌤: 26번에 쓰인 As ~ as 구문에 대한 설명이 간단치 않기 때문에 두 번째 문법인 가주어-진주어 구문부터 설명하겠습니다. 가주어-진주어 구문은 that >이라는 형태를 갖습니다. 구문에서 that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입니다. that 전체가 진주어이고, It 가주어 (, 거짓 주어)입니다.

 

(a) It is believed that too much caffeine causes sleeplessness.

   (그것은 믿어진다 / 너무 많은 카페인은 불면증을 야기한다는 것은)

 

(b) It is true that time is money.

(그것은 사실이다 / 시간은 돈이라는 것은)

 

초롱: 가주어-진주어 구문이 쓰이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강쌤: 주어가 너무 길어서 균형을 맞추기 위해 뒤로 것입니다. 주어가 that절일 주어는 다른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너무 길기 때문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가주어(, 거짓 주어) It 문장 앞에 쓰고, 진주어(, 진짜 주어) that절을 문장 끝에 쓰는 것이 가주어-진주어 구문입니다가주어-진주어 구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5726657&memberNo=642432

 

강쌤: 26번에서 it은 가주어, that절은 진주어입니다.

 

26. As oblivious as she was to the widespread dissatisfaction with her performance on the job, it is no wonder that she greeted the news of her dismissal with        ______.

 

 

강쌤: 26번 문제에 포함된 첫 번째 문법은 원급 비교 as ~ as 구문입니다. 일반적인 ‘as ~ as’ 구문에서 앞 as는 “그 만큼”이라는 지시부사이고, 뒤 as는 “만큼”이라는 접속사입니다. 그래서 ‘as ~ as -’는 “-만큼 그 만큼 ~한”이라는 동등 비교의 개념을 나타냅니다. 첫 번째 as가 부사이므로 그 뒤에는 형용사나 부사가 나올 수 있습니다.

 

(c) Jane is as beautiful as Mary (is beautiful).

(Jane은 메리만큼 그만큼 예쁘다)

 

강쌤: (c)에서 비교 접속사 as 뒤에 ‘is beautiful’이 생략됐습니다. 생략된 이유는 혼동의 여지가 없기 때문입니다.

초롱: 왜 혼동의 여지가 없습니까?

강쌤: 대체로, 비교 접속사 as의 앞 뒤 구조는 등위접속사 and 앞 뒤의 구조처럼 똑 같습니다. 그래서 as 앞과 뒤에 중복된 어구가 나오게 됩니다. (c)에서 as 앞에 ‘Jane is beautiful’과 as 뒤에 ‘Mary is beautiful’은 같은 구조이고 ‘is beautiful’이 중복되고 있습니다. 이 중복된 어구는 혼동의 여지가 없기 때문에 as절에서 생략될 수 있습니다.

 

강쌤: ‘as ~ as’ 구문은 다음 3가지 용법으로 쓰입니다.

 

첫째, 두 사람/사물의 동등한 속성을 비교할 때

둘째, 한 사람/사물의 다른 속성을 비교하거나 두 사람/사물의 다른 속성을 비교할 때

셋째, 두 사건의 시간이나 정도의 동등함을 나타내거나 원인과 결과를 나타낼 때

 

강쌤: 전형적인 원급 비교는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사람/사물의 동등한 속성을 비교합니다. 반면에,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사람/사물의 다른 속성을 비교할 수 있고,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사람/사물의 다른 속성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d) Helen was as courageous as she was beautiful

    (Helen은 예쁜 만큼이나 용기 있었다)

 

(e) Tom was as courageous as his sister was beautiful

    (Tom은 그의 여동생이 예쁜 만큼이나 용기 있었다)

 

초롱: (c)는 쉽게 이해되는데 (d), (e)는 이해가 안됩니다. (d), (e)에서 무엇과 무엇을 비교하고 있습니까?

강쌤: 위 예문들의 의미를 이해하려면 등급의 개념을 적용해야 합니다. 쉬운 이해를 위해 용기와 아름다움을 10등급으로 나누기로 하죠. (d)에서 Helen의 용기와 아름다움은 같은 등급이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면, 용기 7등급, 아름다움 7등급이라는 뜻이죠. (e)에서 Tom의 용기와 그의 여동생의 아름다움은 같은 등급이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면, Tom의 용기는 8등급, 그의 여동생의 미모는 8등급이라는 뜻이죠.

초롱: as ~ as 구문은 어떻게 두 사건의 시간이나 정도의 동등함을 나타내거나 원인을 나타낼 수 있습니까?

강쌤: 시간의 동등함은 연속적인 시간을 나타낼 수 있고, 정도의 동등함은 등급의 개념을 적용하면 됩니다.

 

(f) As soon as the numbers were updated, we just updated our report.

   (그 숫자들이 갱신되자마자, 우리는 바로 우리의 보고서를 갱신했다)

 

(g) As excited as people were about the modern marvel of air conditioning, it was very expensive to run. (사람들은 에어컨의 현대적인 경이로움에 대해 흥분한 만큼, 그것은 운영하는데 아주 비쌌다)

 

강쌤: (f)는 ‘숫자의 갱신’과 ‘보고서 갱신’의 연속적인 시간을 나타내고 (g)는 ‘사람들이 에어컨에 경이로워 하는 정도’와 ‘에어컨을 작동하는데 드는 비용의 정도’를 대비하고 있습니다.

 

강쌤: As ~ as는 원인을 나타내고, 주절은 결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h) As often as such crimes happen, there should be a new law which can prevent them.

(그런 범죄들이 종종 발생하는 만큼, 그것들을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법률이 있어야 한다)

 

강쌤: (h)에서 ‘As often as such crimes happen는 원인을 나타내고, 주절인 ‘there should be a new law which can prevent them은 결과를 나타냅니다. 마찬가지로, 26번에서 ‘As oblivious as she was to the widespread dissatisfaction with her performance on the job (그녀가 직장에서 그녀의 업무에 대한 널리 퍼진 불만을 알아채지 못하는 만큼)원인을 나타내고, 주절인 ‘it is no wonder that she greeted the news of her dismissal with      _____ (그녀가 그녀의 해고 소식을 _________하게 맞이하는 것은 당연하다)결과를 나타냅니다.

 

26. As oblivious as she was to the widespread dissatisfaction with her performance on the job, it is no wonder that she greeted the news of her dismissal with        ______.

 

disdain

impudence

astonishment

uncertainty

apathy

 

강쌤: 빈칸의 정답은 무엇일까요?

초롱: astonishment입니다.

강쌤: 그렇죠. 빈칸의 정답은 astonishment(깜짝 놀람)입니다. 직장에서 그녀의 업무 능력에 대한 관리자들의 불만을 알아채지 못한 상태에서 자신의 해고 소식을 들으면 깜짝 놀라겠죠. 아래 해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석 “그녀가 직장에서 그녀의 업무에 대한 널리 퍼진 불만을 알아채지 못하는 만큼, 당연하다 / 그녀가 깜짝 놀라서 그녀의 해고 소식을 맞이하는 것은.”

 

 

 

  1. 목록
  2. 추천하기
  • 강쌤출판
  • |
  •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112길 45
  • |
  • 대표이사 강상흥
  • |
  • 사업자등록번호 507-96-00727
  • |
  • 통신판매업신고 제2018-서울강남-02776호
  • 고객센터 02-516-9887
  • |
  • 운영시간월~금 10:00 ~ 18:00 토, 일, 공휴일 휴무
  • |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gre_magujabi@daum.net
Copyrightⓒ 강쌤GRE. All rights reserved.
naverb6e1efc451202d7a7501e303d139c84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