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Given으로 시작되는 분사구문, 가주어-진주어 구문 |
강쌤: 다음 28번 Text Completion 문제에는 Given으로 시작되는 분사구문, 가주어-진주어 구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초롱: 이런 구문들을 아는 것이 문제 푸는데 도움이 되나요?
강쌤: 물론이죠. 이 구문들을 하나씩 문제에 적용해보겠습니다.
29. Given the evidence of Egyptian and Babylonian ___________ later Greek civilization, it would be incorrect to view the work of Greek scientists as an entirely independent creation.
ⓐ |
disdain for |
ⓑ |
imitation of |
ⓒ |
ambivalence about |
ⓓ |
deference to |
ⓔ |
influence on |
단어 given ~ (~을 고려해볼 때), view A as B(A를 B라고 간주하다), entirely(완전히, 전부), disdain(경멸하다,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다), ambivalence(양면가치, 이중경향), deference(복종, 존경)
해석 “나중 그리스 문명에 대한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의 _______의 증거를 고려해볼 때, 틀렸을 수도 있다 / 그리스 과학자들의 연구를 완전히 독립적인 창작으로 간주하는 것은.”
강쌤: 29번 문제에 포함된 첫 번째 문법은 Given으로 시작되는 분사구문입니다.
29. Given the evidence of Egyptian and Babylonian __________ later Greek civilization, it would be incorrect to view the work of Greek scientists as an entirely independent creation.
강쌤: Given으로 시작되는 분사구문은 “~을 고려해볼 때”라는 의미를 나타내므로 원인으로 쓰이고 그 다음에 나오는 주절이 결과를 나타냅니다.
(a) Given her age, she is extremely active.
(그녀의 나이를 고려해볼 때, 그녀는 엄청나게 활동적이다)
(b) Given his bad health condition, he cannot run for reelection.
(그의 나쁜 건강 상태를 고려해볼 때, 그는 재선에 나갈 수 없다.)
초롱: 선생님, given은 give(~을 주다)의 과거분사이죠?
강쌤: 맞습니다.
초롱: “Given ~”이 give의 의미와는 전혀 관계 없는 “~을 고려해볼 때”라는 의미를 나타내는지 저는 이해할 수 없습니다.
강쌤: 좋은 지적입니다. Give는 “(계산, 추론의 기초로서) ~을 주다, 고려하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더구나 Given 앞에는 Being이 생략됐고요. (a), (b)의 원래 형태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a1) When she is given her age, she is extremely active.
→ (a2) Being given her age, she is extremely active.
→ (a) Given her age, she is extremely active.
(b1) When he is given his bad health condition, he cannot run for reelection.
→ (b2) Being given his bad health condition, he cannot run for reelection.
→ (b) Given his bad health condition, he cannot run for reelection.
강쌤: (a1)과 (b1)은 원래의 부사절을 나타내고 (a2)와 (b2)는 분사구문을 나타냅니다. (a)와 (b)는 ‘Being’이 생략된 분사구문의 형태이죠.
29. Given the evidence of Egyptian and Babylonian _________ later Greek civilization, it would be incorrect to view the work of Greek scientists as an entirely independent creation.
강쌤: 29번의 원래 부사절 형태는 아래 29-1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29-1. When we are given the evidence of Egyptian and Babylonian __________ later Greek civilization, it would be incorrect to view the work of Greek scientists as an entirely independent creation.
강쌤: 29번 문제에 포함된 두 번째 문법은 가주어-진주어 구문입니다.
29. Given the evidence of Egyptian and Babylonian _____________ later Greek civilization, it would be incorrect to view the work of Greek scientists as an entirely independent creation.
강쌤: 가주어-진주어 구문은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5726657&memberNo=642432
(c) It is believed that too much caffeine causes sleeplessness.
(그것은 믿어진다 / 너무 많은 카페인은 불면증을 야기한다는 것은)
(d) It is true that time is money.
(그것은 사실이다 / 시간은 돈이라는 것은)
(e) It is important to choose good friends.
(그것은 중요하다 / 좋은 친구들을 고르는 것은)
초롱: 가주어-진주어 구문이 쓰이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강쌤: 주어가 너무 길어서 균형을 맞추기 위해 뒤로 뺀 것입니다. 주어가 that절일 때 주어는 다른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너무 길기 때문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가주어(즉, 거짓 주어) It을 문장 맨 앞에 쓰고, 진주어(즉, 진짜 주어)인 that절이나 to부정사구를 문장 끝에 쓰는 것이 가주어-진주어 구문입니다.
강쌤: 29번에서 it은 가주어, ‘to view ~ independent creation’이 진주어입니다.
29. Given the evidence of Egyptian and Babylonian _____________ later Greek civilization, it would be incorrect to view the work of Greek scientists as an entirely independent creation.
강쌤: 29번 문제에서 분사구문 “Given the evidence of Egyptian and Babylonian ___________ later Greek civilization”은 원인을 나타내고, 주절 “it would be incorrect to view the work of Greek scientists as an entirely independent creation”은 결과를 나타냅니다. 주절에서 핵심단어 2개를 고르면 결과의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절에서 핵심단어 2개는 무엇일까요?
29. Given the evidence of Egyptian and Babylonian _____________ later Greek civilization, it would be incorrect to view the work of Greek scientists as an entirely independent creation.
ⓐ |
disdain for |
ⓑ |
imitation of |
ⓒ |
ambivalence about |
ⓓ |
deference to |
ⓔ |
influence on |
초롱: ???
강쌤: 주절에서 핵심단어 2개는 ‘incorrect’와 ‘independent’입니다. 주절의 내용은 ‘그리스 과학자들의 연구는 완전히 독립적이지 않다’는 뜻입니다. 그 원인은 무엇일까요? 그 원인을 찾는 것이 빈칸의 정답이 됩니다. 정답은 무엇일까요?
초롱: 정답은 influence on입니다.
강쌤: 그렇죠. 29번 정답은 ⓔ influence on (~위의 영향)입니다. imitation of과 deference to가 답이 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초롱: 의미가 어색합니다.
강쌤: 그렇죠. imitation of과 deference to를 빈칸에 넣으면 각각 ‘이집트와 바빌로니아가 나중의 그리스 문명을 모방한 것’, ‘이집트와 바빌로니아가 나중의 그리스 문명을 존중한 것’이 라는 의미가 되어 어색합니다. 아래 해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석 “나중 그리스 문명에 대한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의 영향의 증거를 고려해볼 때, 틀렸을 수도 있다 / 그리스 과학자들의 연구를 완전히 독립적인 창작으로 간주하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