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이미지

커뮤니티

[문장구조 분석 #31] 양보절 이끄는 however, they가 뒤 명사 가리키는 용법, whom 용법

 

31. 양보절 이끄는 however, they가 뒤 명사 가리키는 용법, whom 용법

 

 

강쌤: 다음 31번 Text Completion 문제에는 양보절을 이끄는 복합 관계부사 however, they가 뒤에 나오는 명사를 가리키는 용법,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용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초롱: 이런 구문들을 아는 것이 문제 푸는데 도움이 되나요?

강쌤: 물론이죠. 이 구문들을 하나씩 문제에 적용해보겠습니다.

 

31. However (i)__________  they might be, Roman poets tended to have some favorite earlier author whom they would (ii)____________.

 

Blank (i)

 

Blank (ii)

deferential

 

imitate

original

 

inspire

talented

 

neglect

 

 

단어 deferential(정중한, 공손한), original(원래의, 독창적인, 기발한), imitate(모방하다, 흉내 내다), inspire(분발하게 하다, (생각 등을) 불러 일으키다), neglect(무시하다, 얕보다)

 

해석 “그들이 아무리 _________하다고 하더라도, 로마 시인들은 어떤 좋아하는 이전의 작가를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 / 그들이 ________하곤 했던.”

 

 

강쌤: 31번 문제에 포함된 첫 번째 문법은 양보절을 이끄는 복합 관계부사 However의 용법입니다.

 

31. However (i)_________ they might be, Roman poets tended to have some favorite earlier author whom they would (ii)__________.

 

강쌤: 복합 관계부사 however는 “아무리 ~하더라도”라는 뜻으로 양보의 부사절을 이끕니다.

초롱: however를 왜 복합 관계부사라고 부르는 것입니까?

강쌤: 복합 관계부사 however는 관계부사 how와 부사 ever를 결합하여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입니다.

 

초롱: 양보의 부사절이란 어떤 것입니까?

강쌤: 양보의 부사절이란 내 주장을 굽히고 양보해서 인정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종속절입니다. 이 때, 주절은 종속절의 내용과 반대 방향의 내용을 나타냅니다. However는 no matter how의 의미 즉, “아무리 ~하더라도”라는 양보하고 인정하는 내용을 나타냅니다. However가 이끄는 양보절의 어순은 <However 형용사/부사 + 주어 + (may) + 동사>입니다.

초롱: However 다음에 주어가 아니라 형용사나 부사가 나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강쌤: 좋은 질문입니다. However 의미가얼마나/아무리 ~할지라도라는 것에 주목하세요. , ‘어떻게 아니라얼마나라는 의미를 갖는다는 것이죠. however = how + ever이니까 however how에서 파생됐다는 것을 있습니다. how어떻게라는 의미일 때의 어순과얼마나라는 의미일 어순이 다릅니다.

초롱: 어떻게요?

강쌤: how어떻게라는 의미일 어순은 <how + 주어 + 동사 + 보어/목적어>이지만, ‘얼마나라는 의미일 어순은 <how + 형용사/부사 + 주어 + 동사>입니다.

 

(a) I know how I should drive.

(나는 안다 / 어떻게 내가 운전해야 하는지를)

 

(b) I know how old she is.

(나는 안다 / 그녀가 얼마나 나이 들었는지를)

 

(c) I know how much he loves Chinese food.

(나는 안다 / 얼마나 많이 그가 중국 음식을 좋아하는지를)

 

초롱: 선생님, (a) (b), (c)에서 어순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강쌤: 어떻게 동사를 수식하고얼마나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어떻게 공부하는지’, ‘얼마나 예쁜지’, ‘얼마나 친절하게등은 성립하는데얼마나 공부하는지’, ‘어떻게 예쁜지’, ‘어떻게 친절하게 성립되지 않습니다.

 

강쌤: however얼마나, 아무리 의미를 가지므로 뒤에는 다음과 같이 정도를 나타내는 형용사나 부사가 나와야 합니다.

 

(d) We'll have to finish it, however long it may takes.

= We'll have to finish it, no matter how long it may takes.

(우리는 그것을 끝내야 / 아무리 오래 걸려도)

 

(e) I won't accept their offer, however favorable the conditions may be.

= I won't accept their offer, no matter how favorable the conditions may be.

(나는 그들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 조건들이 아무리 좋아도)

 

강쌤: 31번에서 복합 관계부사 ‘However’ 바로 뒤의 빈칸에는 형용사가 나와야 합니다.

 

31. However (i)__________ they might be, Roman poets tended to have some favorite earlier author whom they would (ii)_________.

 

 

강쌤: 31번 문제에 포함된 두 번째 문법은 대명사 they가 뒤에 나오는 명사를 가리키는 용법입니다. 31번에서 ‘they’는 뒤에 나오는 주절의 주어 ‘Roman poets를 가리킵니다.

 

31. However (i)___________ they might be, Roman poets tended to have some favorite earlier author whom they would (ii)__________.

 

초롱: 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를 가리켜야 하지 않나요?

강쌤: 일반적으로 그렇게 해야 합니다. 대명사(代名詞)라는 용어 자체가 ‘(앞에 나온) 명사를 대신하는 말’을 의미하니까요. 하지만 31번에서처럼 대명사가 종속절에 포함되면 그 뒤에 나오는 명사를 대신할 수 있습니다.

초롱: 왜요?

강쌤: 종속절은 주절에 종속된 것이기 때문에 31번처럼 주절 앞에 위치할 수도 있고, 31-1번처럼 주절 뒤에 위치할 수도 있습니다. 종속절에 포함된 대명사는 종속절이 주절 뒤에 있든, 아니면 주절 앞에 있든지 관계 없이 주절의 명사 (특히, 주어)를 가리킵니다. 그 이유는 혼동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죠. 아래 31-1에서 ‘they’는 앞에 나온 주어 ‘Roman poets를 가리킵니다.

 

31-1. Roman poets tended to have some favorite earlier author whom they would (ii)___________, however (i)_________ they might be.

 

강쌤: 31번 문제에 포함된 세 번째 문법은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입니다.

 

31. However (i)_________ they might be, Roman poets tended to have some favorite earlier author whom they would (ii)__________.

 

 

강쌤: 관계대명사는 ‘관계 + 대명사’ 즉, ‘접속사 + 대명사’ 역할을 합니다. 접속사로서 앞 절과 그 뒤 절을 접속사하고 대명사로서 주어, 목적어 또는 보어로 쓰입니다. 31번에서 관계대명사 whom은 그 뒤에 주어 ‘they’, 조동사 ‘would’, 타동사 ‘_________’이 나오기 때문에 목적어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강쌤: 위에서 살펴본 3가지 문법들을 이용해서 31번 문제를 풀겠습니다.

 

31. However (i)_________ they might be, Roman poets tended to have some favorite earlier author whom they would (ii)__________.

 

Blank (i)

 

Blank (ii)

deferential

 

imitate

original

 

inspire

talented

 

neglect

 

 

강쌤: 빈칸보다 번째 빈칸을 공략하기가 쉽습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타동사의 목적어로 쓰여야 하기 때문에 둘째 빈칸에는 타동사가 나와야 합니다. 그래서 둘째 빈칸의 선택지들 모두 타동사들인 imitate, inspire, neglect입니다. 빈칸 뒤의 목적어는 whom입니다. 대명사 whom 가리키는 명사는 무엇이죠?

초롱: 선행사인some favorite earlier author’입니다.

강쌤: 그렇죠. 이것을 문장으로 나타내면 아래 31-2 같습니다.

 

31-2. Roman poets (ii)__________ some favorite earlier author.

 

강쌤: 둘째 빈칸에 알맞은 어구는 imitate, inspire, neglect 어느 것일까요?

초롱: imitate입니다.

강쌤: 그렇죠. 둘째 빈칸의 정답은 imitate(모방하다, 흉내 내다)입니다. 로마 시인들은 어떤 좋아하는 이전의 작가를 imitate(모방하다) 할 수는 있지만 inspire(생각을 불러 일으키다)나 neglect(무시하다, 얕보다) 할 수는 없죠. However는 양보의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However가 이끄는 절의 내용은 주절의 내용과 반대라야 합니다. 첫 빈칸의 정답은 무엇일까요?

 

31. However (i)__________ they might be, Roman poets tended to have some favorite earlier author whom they would (ii)___________.

 

Blank (i)

 

Blank (ii)

deferential

 

imitate

original

 

inspire

talented

 

neglect

 

초롱: ???

강쌤: 주절의 핵심은 ‘imitate(모방하다, 흉내 내다)’입니다. 첫 빈칸은 however절의 핵심이므로 ‘imitate(모방하다, 흉내 내다)’와 반대라야 합니다. 첫 빈칸의 정답은 무엇일까요?

초롱: original입니다.

강쌤: 그렇죠. 첫 빈칸의 정답은 original(원래의, 독창적인, 기발한)입니다. 아래 해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석 “그들이 아무리 독창적이라고 하더라도, 로마 시인들은 어떤 좋아하는 이전의 작가를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 / 그들이 모방하곤 했던.”

 

 

 

 

  1. 목록
  2. 추천하기
  • 강쌤출판
  • |
  •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112길 45
  • |
  • 대표이사 강상흥
  • |
  • 사업자등록번호 507-96-00727
  • |
  • 통신판매업신고 제2018-서울강남-02776호
  • 고객센터 02-516-9887
  • |
  • 운영시간월~금 10:00 ~ 18:00 토, 일, 공휴일 휴무
  • |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gre_magujabi@daum.net
Copyrightⓒ 강쌤GRE. All rights reserved.
naverb6e1efc451202d7a7501e303d139c84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