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주어로 쓰인 that절, ‘세미콜론(;) + nevertheless’ 용법 |
강쌤: 다음 16번 Text Completion 문제에는 주어로 쓰인 that절, ‘세미콜론(;) + nevertheless’ 용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초롱: 이런 구문들을 아는 것이 문제 푸는데 도움이 되나요?
강쌤: 물론이죠. 이 구문들을 하나씩 문제에 적용해보겠습니다.
16. That she seemed to prefer (i)__________ to concentrated effort is undeniable; nevertheless, the impressive quality of her finished paintings suggests that her actual relationship to her art was anything but (ii)__________.
Blank (i) |
|
Blank (ii) |
||
ⓐ |
artfulness |
|
ⓓ |
passionate |
ⓑ |
dabbling |
|
ⓔ |
superficial |
ⓒ |
caprice |
|
ⓕ |
lighthearted |
단어 concentrated(집중된, 농축된), undeniable(부정할 수 없는, 틀림없는), impressive(인상적인, 훌륭한), anything but ~(~이 결코 아닌), artfulness(교묘함, 교활함, 기교 있음), dabbling(취미 삼아 해보는 것), caprice(변덕, 변덕스러운 성질), passionate(열정적인, 격렬한), superficial(표면의, 허울뿐인, 피상적인), lighthearted(마음 편한, 태평한, 명랑한),
해석 “그녀가 집중된 노력보다 ________을 선호하는 것처럼 보였던 것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완성된 그림들의 인상적인 특성은 암시한다 / 그녀의 예술과의 실제적인 관계는 결코 _______이 아니었다는 것을.”
강쌤: 16번 문제에 포함된 첫 번째 문법은 주어로 쓰이는 that절입니다.
16. That she seemed to prefer (i)__________ to concentrated effort is undeniable; nevertheless, the impressive quality of her finished paintings suggests that her actual relationship to her art was anything but (ii)__________.
초롱: 선생님, 주어로 쓰일 수 있는 어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강쌤: 주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류인 명사, 대명사, 명사구, 명사절입니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명사 |
대명사 |
명사구 |
명사절 |
명사어구 |
대명사 |
부정사구 동명사구 |
That절 Whether절 What절 관계부사절 |
초롱: 왜 명사류가 주어로 쓰이는 것입니까?
강쌤: 주어는 문장에서 서술의 주체인 사람이나 사물을 나타냅니다. 사람이나 사물을 나타내는 품사는 명사입니다. 그래서 주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류입니다.
초롱: 부정사구와 동명사구, that절, whether절, what절, 관계부사절이 주어가 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강쌤: 부정사구와 동명사구는 “~하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that절은 “~인 것”이라는 뜻이고, whether절은 “~인지 (아닌지)”라는 뜻이고, what절은 “~인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관계부사절을 나타내는 where절, when절, why절, how절은 각각 장소, 시간, 이유, 방법을 나타내므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아래 예문들에서 이를 확인하겠습니다.
(a) To know ourselves is not easy. <부정사구>
(우리 자신을 안다는 것은 쉽지 않다)
(b) Finding unknown quantities is the task of algebra. <동명사구>
(알려지지 않은 수량들을 발견하는 것은 대수학의 해야 할 일이다)
(c) That she is in difficulty is evident. <That절>
(그녀가 어려움에 처해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d) Whether he is alive is not clear. <Whether절>
(그가 살아있는지 (아닌지)는 분명하지 않다)
(e) What I really need is your help. <What절>
(내가 정말로 필요한 것은 너의 도움이다)
(f) When the zero was found is not known. <관계부사 When절>
(영이 언제 발견됐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강쌤: 16번 문제에서 That은 “~인 것”이라는 의미의 접속사입니다. 그래서 명사절을 이끌고 있습니다.
16. That she seemed to prefer (i)__________ to concentrated effort is undeniable; nevertheless, the impressive quality of her finished paintings suggests that her actual relationship to her art was anything but (ii)__________.
초롱: 16번에서 That은 “그것”이라는 의미의 지시대명사가 될 수는 없나요?
강쌤: 없습니다. 왜냐하면 That이 지시대명사가 되려면 지시 대상이 앞에 나와야 하는데 그 앞에 아무 것도 없죠. 더구나 That이 지시대명사로 쓰이려면 다음과 같이 바로 그 뒤에는 동사가 나와야 합니다. That 뒤에 ‘주어 + 동사 ~’가 나오면 That은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입니다.
(g) That is exactly what I said. <지시대명사>
((앞에 나온) 그것이 바로 내가 말한 것이다)
(h) That all behavior is learned behavior is a basic assumption of social scientists. <접속사>
(모든 행동은 학습된 행동이라는 것은 사회과학자들의 기본 가정이다)
강쌤: 16번에서 That절을 해석하면 “그녀가 집중된 노력보다 ______을 선호하는 것 같았다는 것”입니다. ‘prefer A to B’는 ‘B보다 A를 선호하다’라는 뜻이므로 첫 빈칸에는 ‘concentrated effort’의 반대말이 나와야 합니다. 첫 빈칸의 정답은 무엇일까요?
16. That she seemed to prefer (i)__________ to concentrated effort is undeniable; nevertheless, the impressive quality of her finished paintings suggests that her actual relationship to her art was anything but (ii)__________.
Blank (i) |
|
Blank (ii) |
||
ⓐ |
artfulness |
|
ⓓ |
passionate |
ⓑ |
dabbling |
|
ⓔ |
superficial |
ⓒ |
caprice |
|
ⓕ |
lighthearted |
초롱: 정답은 dabbling입니다.
강쌤: 그렇죠. 첫 빈칸의 정답은 ‘concentrated effort’의 반대말인 ⓑ dabbling(취미 삼아 해보는 것)입니다.
강쌤: 16번 문제에 포함된 두 번째 문법은 ‘세미콜론(;) + nevertheless’입니다.
16. That she seemed to prefer (i)__________ to concentrated effort is undeniable; nevertheless, the impressive quality of her finished paintings suggests that her actual relationship to her art was anything but (ii)__________.
강쌤: 세미콜론(;)은 콜론(:)과 함께 GRE TC와 SE에서 정말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colon(:)은 주로 “즉”이라는 뜻으로 동격어구나 동격절이 그 뒤에 나옵니다. 반면에, 세미콜론(;)은 접속사 and, but, because의 역할을 합니다.
(i) His play was an artificial work: both its laughter and its tears seemed false.
(그의 연극은 부자연스런 작품이었다: 즉, 그것의 웃음과 눈물이 거짓 같았다)
(j) Fastening seat belts is obligatory in many states; thus, failure to wear them may result in fines. (안전 벨트를 매는 것은 많은 주들에서 의무적이다; 그리고 그래서 그것들을 매지 않는 것은 벌금을 야기할 수도 있다)
(k) Some volcanoes have been inactive for many years; others have erupted in recent years. (몇몇 화산들은 많은 해 동안 움직이지 않은 채로 있어왔다; 하지만 다른 화산들은 최근에 폭발했다)
(l) The essay lacks originality and freshness; it is quite trite.
(그 에세이는 독창성과 생생함을 결여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아주 진부하니까)
초롱: GRE TC와 SE문제 풀 때 세미콜론(;)의 3가지 용법을 어떻게 구별하면 됩니까?
강쌤: GRE TC와 SE에서 세미콜론(;)은 주로 because의 의미로 쓰입니다. GRE TC와 SE에서 because의 의미와 and의 의미를 혼동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둘 다 같은 방향을 나타내니까요. GRE TC와 SE 문제를 잘 풀기 위해서는 세미콜론 앞, 뒤 내용이 반대 방향으로 전개되는 경우만 외우면 됩니다.
초롱: 세미콜론 앞, 뒤 내용이 반대 방향으로 전개되는 경우는 어떤 것입니까?
강쌤: 다음 3가지 경우입니다.
첫째, <Some ~ ; others ~ >에서 semicolon(;)은 but의 의미를 나타낸다.
둘째, 겉 모습을 나타내는 appear, apparently, seemingly 등과 실제 모습을 나타내는 actually, really, in fact와 함께 쓰이면 세미콜론은 but의 의미를 나타낸다.
셋째, <~ ; however / nevertheless>에서 세미콜론 앞, 뒤 내용은 반대 방향 나타낸다.
강쌤: 16번 문제는 위 3가지 경우 중에서 세 번째에 해당됩니다.
(m) They were pleased to meet again after such a long separation; however, the meeting was a strain for them.
(그들은 아주 긴 이별 후에 다시 만난 것을 기뻐했다; (그리고) 그렇지만 그 만남은 그들에게 큰 부담이었다)
(n) Socrates was famous for his acumen; nevertheless, he always acknowledged ignorance.
(소크라테스는 그의 예리함 때문에 유명했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항상 알지 못함을 인정했다)
강쌤: 16번 문제에서 ‘nevertheless’ 뒤 내용은 그 앞의 내용과 반대라야 합니다. ‘nevertheless’ 앞의 내용의 핵심은 ⓑ dabbling(취미 삼아 해보는 것)이죠. ‘nevertheless’ 뒤 내용의 핵심은 ‘anything but (ii)__________’이죠. ‘anything but’은 “~이 결코 아닌”이라는 뜻이므로 빈칸에는 ⓑ dabbling(취미 삼아 해보는 것)이과 비슷한 의미가 나와야 합니다. 그렇다면 둘째 빈칸의 정답은 무엇일까요?
16. That she seemed to prefer (i)__________ to concentrated effort is undeniable; nevertheless, the impressive quality of her finished paintings suggests that her actual relationship to her art was anything but (ii)__________.
Blank (i) |
|
Blank (ii) |
||
ⓐ |
artfulness |
|
ⓓ |
passionate |
ⓑ |
dabbling |
|
ⓔ |
superficial |
ⓒ |
caprice |
|
ⓕ |
lighthearted |
초롱: superficial입니다.
강쌤: 그렇죠. 둘째 빈칸의 정답은 ⓔ superficial(표면의, 허울뿐인, 피상적인)입니다. 아래 해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석 “그녀가 집중된 노력보다 취미 삼아 해보는 것을 선호하는 것처럼 보였던 것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완성된 그림들의 인상적인 특성은 암시한다 / 그녀의 예술과의 실제적인 관계는 결코 허울뿐인 것이 아니었다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