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가주어-진주어 구문, so that 용법, 주어로 쓰이는 부정사구 |
강쌤: 다음 21번 Text Completion 문제에는 가주어-진주어 구문, so that 용법, 주어로 쓰이는 부정사구 의 용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초롱: 이런 구문들을 아는 것이 문제 푸는데 도움이 되나요?
강쌤: 물론이죠. 이 구문들을 하나씩 문제에 적용해보겠습니다.
21. It was her view that the country's problems had been __________ by foreign technocrats, so that to invite them to come back would be counterproductive.
ⓐ |
foreseen |
ⓑ |
attacked |
ⓒ |
ascertained |
ⓓ |
exacerbated |
ⓔ |
analyzed |
단어 technocrat(기술자 출신의 고급 관료), counterproductive(역효과를 낳는, 비생산적인), foresee(예견하다, 미리 알다, 내다보다), ascertain(확인하다, 탐지해내다), exacerbate(악화시키다, 화나게 하다)
해석 “그것은 그녀의 견해였다 / 그 나라의 문제들은 외국 기술자 출신의 고급 관료들에 의해 _____________ / 그래서 그들을 초청해서 돌아오게 하는 것은 역효과를 낳을 것이다.”
강쌤: 21번 문제에 포함된 첫 번째 문법은 가주어-진주어 구문입니다.
21. It was her view that the country's problems had been __________ by foreign technocrats, so that to invite them to come back would be counterproductive.
강쌤: 가주어-진주어 구문은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5726657&memberNo=642432
(a) It is believed that too much caffeine causes sleeplessness.
(그것은 믿어진다 / 너무 많은 카페인은 불면증을 야기한다는 것은)
(b) It is true that time is money.
(그것은 사실이다 / 시간은 돈이라는 것은)
초롱: 가주어-진주어 구문이 쓰이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강쌤: 주어가 너무 길어서 균형을 맞추기 위해 뒤로 뺀 것입니다. 주어가 that절일 때 주어는 다른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너무 길기 때문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가주어(즉, 거짓 주어) It을 문장 맨 앞에 쓰고, 진주어(즉, 진짜 주어)인 that절을 문장 끝에 쓰는 것이 가주어-진주어 구문입니다.
강쌤: 강조구문도 다음과 같이 가주어-진주어 구문과 유사한 형태를 취합니다.
(c) It was your son that broke the window. <주어 강조>
(당신 아들이었다 / 그 유리창을 깬 것은)
(d) It was in 1912 that the Titanic sank. <부사어 강조>
(1912년에였다 / 타이타닉호가 침몰한 것은)
초롱: 강조구문과 가주어-진주어 구문을 구별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강쌤: 두 구문을 구별하는 방법은 ‘It is/was’와 ‘that’을 생략했을 때 남은 어구들이 완전한 하나의 문장을 이루면 그것은 강조 구문이고, 그렇지 않으면 가주어 구문입니다. (a)와 (b)에서 ‘It is’와 ‘that’을 생략하면 각각 ‘believed too much caffeine causes sleeplessness’, ‘true time is money’가 되어 불완전한 문장이 됩니다. 반면에, (c)와 (d)에서 ‘It was’와 ‘that’을 생략하면 각각 ‘your son broke the window’, ‘in 1912 the Titanic sank’가 되어 완전한 문장이 됩니다.
초롱: 선생님, 왜 강조 구문에서 “It is/was”와 “that”을 생략했을 때 남은 어구들이 완전한 하나의 문장을 이루어야 하나요?
강쌤: 완전한 문장이 주어져 있을 때 이것을 강조 구문으로 만드는 방법이 It is/was ~ that을 추가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It is/was”와 “that”을 생략하면 원래의 완전한 문장이 남겠죠.
강쌤: 21번 문제에서 ‘It was’와 ‘that’을 생략하면 불완전한 문장이 되기 때문에 ‘It was her view that ~’은 가주어-진주어 구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1. It was her view that the country's problems had been __________ by foreign technocrats, so that to invite them to come back would be counterproductive.
강쌤: 21번 문제에 포함된 두 번째 문법은 so that 구문입니다.
21. It was her view that the country's problems had been __________ by foreign technocrats, so that to invite them to come back would be counterproductive.
강쌤: < ~ so that ~ >은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는 ‘목적’ 의미와 ‘그래서’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e) He took a taxi so that he would not be late.
(그는 택시를 탔다 / 그가 늦지 않기 위해서)
(f) Her father died unexpectedly so that she was forced to quit school.
(그녀의 아버지는 예기치 않게 죽었다. 그래서 그녀는 학교를 그만둬야 했다)
초롱: <~ so that ~ >에서 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와 “그래서”라는 뜻이 나오는 것입니까?
강쌤: <~ so that ~ >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는 의미에서 so는 “그렇게”라는 부사이고, that은 “~하도록”이라는 목적 의미의 접속사입니다. 그래서 so that ~은 “~하도록 그렇게 = ~하도록 하기 위해”라는 뜻이 됩니다. <~ so that ~ >이 “그래서”라는 의미를 나타낼 때 so는 “그렇게”라는 부사이고, that은 “그러므로”라는 결과 의미의 접속사입니다.
초롱: <~ so that>이 “~하기 위해서”인지 “그래서”의 의미인지 어떻게 구분합니까?
강쌤: 구분 방법은 두가지입니다. 첫째, so that 다음에 조동사가 나오지 않으면 <~ so that>을 “그래서”로 해석하면 됩니다.
(g) Light was not bright so that my eyes became tired.
(빛이 밝지 않아서 그래서 내 눈이 피로해졌다)
(h) She is very wise, so that everybody respects her.
(그녀는 아주 현명하다, 그래서 모든 사람이 그녀를 존경한다)
강쌤: 둘째, so that 다음에 조동사 may, might, can, could, will, would, should 중 하나가 나올 때 앞 뒤 내용이 원인-결과 관계인지 아닌지 확인해야 됩니다. 원인-결과 관계이면 <~ so that>을 “그래서”로 해석하면 되고 원인-결과 관계가 아니면 “~하기 위해서”로 해석하면 됩니다.
(i) The noise disturbed him so that he could not concentrate on his work.
(그 소음이 그를 방해해서 그래서 그는 그의 일에 집중할 수 없었다)
(j) Tom burned the memo so that his wife would not read it.
(Tom은 그 메모를 태웠다 / 그의 아내가 그것을 읽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강쌤: 21번 문제에서 ‘so that’ 앞은 원인을 나타내고 그 뒤는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so that’은 ‘그래서’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21. It was her view that the country's problems had been _________ by foreign technocrats, so that to invite them to come back would be counterproductive.
강쌤: 21번 문제에 포함된 세 번째 문법은 주어로 쓰이는 부정사구’ 용법입니다.
21. It was her view that the country's problems had been _________ by foreign technocrats, so that to invite them to come back would be counterproductive.
강쌤: 부정사구 ‘to invite them to come back’는 ‘그들을 초청해서 돌아오게 하는 것’이라는 명사구로서 술어동사 ‘would be’의 주어로 쓰이고 있습니다.
강쌤: 자, 위에서 다룬 세 가지 문법 개념을 이용해서 21번 문제를 풀어볼까요?
21. It was her view that the country's problems had been __________ by foreign technocrats, so that to invite them to come back would be counterproductive.
ⓐ |
foreseen |
ⓑ |
attacked |
ⓒ |
ascertained |
ⓓ |
exacerbated |
ⓔ |
analyzed |
강쌤: so that 뒤 부분의 핵심어는 ‘counterproductive(역효과를 낳는)’이기 때문에 so that 뒤 부분은 부정적인 의미입니다. so that 앞 부분은 원인을 나타내고 그 뒤 부분은 결과를 나타냅니다. 빈칸에는 긍정 의미가 나와야 하나요, 부정 의미가 나와야 하나요?
초롱: 부정 의미가 나와야 합니다.
강쌤: 그렇죠. 정답은 무엇일까요?
초롱: exacerbated입니다.
강쌤: 그렇죠. 정답은 exacerbated입니다. attacked은 얼핏 보면 부정 의미인데 공격 대상이 the country's problems이기 때문에 부정 의미가 아닙니다. 아래 해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석 “그것은 그녀의 견해였다 / 그 나라의 문제들은 외국 기술자 출신의 고급 관료들에 의해 악화되었다, / 그래서 그들을 초청해서 돌아오게 하는 것은 역효과를 낳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