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이미지

커뮤니티

<고난도 Reading 문제 풀이 15> In 1995, after an absence of nearly 70 years, wolves were reintroduced ~

 

<고난도 리딩 문제 풀이 15> In 1995, after an absence of nearly 70 years, wolves were reintroduced ~

 

 

강쌤: 9월 19일부터 리딩과 센컴 고난도 문제 풀이를 시작했습니다. 7년 전에 그랬던 것처럼 뜨겁고 치열하게 문제를 다루겠습니다.ㅎㅎ

 

 

Questions 31 to 32 are based on the following passage

 

In 1995, after an absence of nearly 70 years, wolves were reintroduced into Yellowstone National Park. During the wolf-free era, heavy browsing of aspen trees by elk populations spelled doom not only for trees themselves but for a host of other creatures dependent on them, such as beavers, whose population in Yellowstone crashed after wolves were removed. Without beavers to create ponds, wetland ecosystemsaquatic plants, amphibians, birdswere devastated. When wolves returned, grazers and browsers resumed normal patterns of behaviors, preferring safer, open areas over the dense cover and stream sides where carnivores can lurk. Keeping elk wary and on the move, wolves gave aspen and other young trees the opportunity to grow and become reestablished.

 

 

31. The passage asserts which of the following about beaver populations in Yellowstone?

 

They have rebounded since the reintroduction of wolves.

 

They were adversely affected by the feeding habits of elk population.

 

They increased during the period when wolves disappeared from the park.

 

They have historically had an adverse effect on the park's wetland ecosystems.

 

They are essential to the health of the park's aspen trees.

 

 

32. The author would most likely agree with which of the following claims about the reintroduction of wolves to Yellowstone?

 

It indirectly harmed some of the park's amphibian habitats.

 

It reduced the number of elk feeding along stream sides.

 

It led to greater species diversity among the park's grazers and browsers.

 

It significantly increased competition for food among the park's carnivores.

 

It fostered the resurgence of tree species that once flourished in the park's open areas.

 

 

GPT-4의 본문 해석

 

"1995년, 거의 70년의 공백이 있었던 후에, 늑대들이 옐로스톤 국립 공원에 다시 소개되었습니다. 늑대가 없던 시대 동안, 엘크(북아메리카 순록)의 대량 방목은 아스펜 나무에게만 아니라 비버와 같이 그들에 의존하는 다양한 생물에게도 파멸을 의미했습니다. 비버의 인구가 늑대가 제거된 후에 옐로스톤에서 급감했습니다. 비버가 연못을 만들지 않았기 때문에, 습지 생태계—수생 식물, 양서류, 새들—은 황폐해졌습니다. 늑대가 돌아왔을 때, 초식동물들과 방목동물들은 정상적인 행동 패턴을 재개하였고, 포식자가 숨을 수 있는 빽빽한 숲과 시냇가보다는 안전하고, 탁 트인 지역을 선호하였습니다. 엘크를 경계하게 하고 움직이게 함으로써, 늑대들은 아스펜과 다른 어린 나무들에게 성장하고 재확립될 기회를 주었습니다."

 

 

강쌤의 지문 분석

 

강쌤: 위 지문이 어려운 이유는 동식물의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복잡한 관계를 놓치면 31번과 32번 문제를 놓칠 수 있습니다. 아래 첫 문장은 주제가 될 수 있을까요?

 

In 1995, after an absence of nearly 70 years, wolves were reintroduced into Yellowstone National Park.

 

초롱: ???

강쌤: 위 첫 문장은 객관적 사실을 나타내나요, 주관적 의견을 나타내나요?

 

초롱: 객관적 사실을 나타냅니다.

강쌤: 그렇죠. 객관적 사실에는 독자에게 이미 알려진 정보(구정보)와 새로운 정보(신정보)가 있습니다. 첫 문장은 알려진 정보인가요, 새로운 정보인가요?

 

초롱: 독자에게 새로운 정보입니다.

강쌤: 그렇죠. 그래서 이 문장은 주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다음 문장에서 ‘왜 늑대가 재도입됐는가?’, ‘어떻게 늑대가 재도입됐는가?’, ‘늑대가 재도입된 것은 무엇인가?’ 중 어떤 질문의 답이 나올까요?

 

초롱: 왜 늑대가 재도입됐는가?’의 답이 나올 것 같습니다.

강쌤: 그렇죠. 늑대가 없을 때, 좋지 않은 일이 벌어졌기 때문에 늑대가 재도입 됐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늑대가 없을 때, 좋지 않은 일이 벌어진 것에 대해서는 둘째 문장과 셋째 문장에 나옵니다. 즉, “엘크(북아메리카 순록)의 대량 방목은 아스펜 나무와 비버 뿐만 아니라 습지 생태계를 파멸시켰습니다.“ 아래 두 문장에서 이런 내용을 확인하세요.

 

During the wolf-free era, heavy browsing of aspen trees by elk populations spelled doom not only for trees themselves but for a host of other creatures dependent on them, such as beavers, whose population in Yellowstone crashed after wolves were removed. Without beavers to create ponds, wetland ecosystemsaquatic plants, amphibians, birdswere devastated.

 

강쌤: 그다음에는 늑대가 재도입된 이후의 내용이 나와야 합니다. 늑대가 돌아왔을 때 초식동물들과 방목동물들은 정상적인 행동 패턴을 되찾았고, 아스펜 나무들이 성장할 기회를 얻었습니다. 이런 내용을 아래 두 문장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When wolves returned, grazers and browsers resumed normal patterns of behaviors, preferring safer, open areas over the dense cover and stream sides where carnivores can lurk. Keeping elk wary and on the move, wolves gave aspen and other young trees the opportunity to grow and become reestablished.

 

 

강쌤의 31번 문제 분석:

 

강쌤: 31번 문제는 언급된 사실(fact) 문제입니다. fact 문제는 본문에 있는 내용을 묻는 것이기 때문에 대체로 쉽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는 어렵습니다.

 

31. The passage asserts which of the following about beaver populations in Yellowstone?

 

초롱: 왜요?

강쌤: 늑대와 관련된 여러 동식물의 관계를 알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비버 인구의 변화와 그 원인에 대해 지문에서 언급하는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면 문제 풀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강쌤의 31번 보기 분석:

 

강쌤: 지문의 둘째 문장 “During the wolf-free era, heavy browsing of aspen trees by elk populations spelled doom not only for trees themselves but for a host of other creatures dependent on them, such as beavers, whose population in Yellowstone crashed after wolves were removed.”을 바탕으로 정답을 찾으면 됩니다.

 

They have rebounded since the reintroduction of wolves.

➡️ 오답 (늑대가 다시 도입된 후 비버의 개체수가 회복되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되지 않고 있다)

 

They were adversely affected by the feeding habits of elk population.

➡️ 정답 (엘크의 대량 방목이 아스펜 나무와 비버에게 파멸을 야기했으므로 정답이다)

 

They increased during the period when wolves disappeared from the park.

➡️ 오답 (비버 개체수는 늑대가 사라진 동안 증가한 것이 아니라 급격히 감소했다)

 

They have historically had an adverse effect on the park's wetland ecosystems.

➡️ 오답 (비버 개체수는 공원 습지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왜냐하면 비버가 연못을 만들어서 습지 생태계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They are essential to the health of the park's aspen trees.

➡️ 오답 (비버 개체수는 공원의 아스펜 나무의 건강에 필요한 것이 아니라 반대로 비버가 아스펜 나무에게 의존했다.)

 

 

GPT-4의 31번 해설

 

이 지문은 옐로스톤의 비버 인구가 늑대가 제거된 후에 급감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비버 인구의 감소로 인해 습지 생태계가 파괴되었고, 이는 아스펜 나무와 다른 생물 종에게도 악영향을 끼쳤습니다.

 

31. 글은 옐로스톤의 비버 인구에 대해 다음 중 어느 것을 주장하고 있습니까?

 

ⓐ 늑대가 다시 도입된 이후에 그들의 수가 회복되었습니다.

ⓑ 그들은 엘크 인구의 먹이 습성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습니다.

ⓒ 늑대가 공원에서 사라진 기간 동안 그들의 수가 증가했습니다.

ⓓ 역사적으로 그들은 공원의 습지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그들은 공원의 아스펜 나무의 건강에 필수적입니다."

 

지문 내용을 분석하면:

 

ⓐ 지문에서 늑대가 다시 도입된 후 비버의 인구가 회복되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 지문에서 엘크의 대량 방목이 아스펜 나무뿐만 아니라 비버에게도 파멸을 의미했다고 언급되었습니다. 따라서 이는 사실입니다.

 

ⓒ 지문에서는 늑대가 사라진 후 비버의 인구가 급감했다고 했습니다. 이로부터 비버 인구가 증가했다는 내용은 얻을 수 없습니다.

 

ⓓ 지문에서는 비버가 연못을 만들어 습지 생태계를 지탱했으므로, 비버가 습지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닙니다.

 

ⓔ 지문에서 비버가 아스펜 나무의 건강에 필수적이라는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강쌤의 32번 문제 분석:

 

강쌤: 32번 문제는 ‘지문의 저자가 옐로스톤에 늑대를 다시 도입하는 것에 대해 어떤 주장에 동의할 것인지’ 묻고 있습니다. 이 문제는 저자의 의도를 추론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고난도 문제입니다.

 

32. The author would most likely agree with which of the following claims about the reintroduction of wolves to Yellowstone?

 

초롱: 왜요?

강쌤: 학생들이 구체적인 정보를 찾는 것과 저자의 의도나 태도를 추론하는 것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학생들은 지문에서 직접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정보에 대해 추론하는 능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초롱: 32번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하나요?

강쌤: 32번 문제 푸는 요령은 ‘왜 늑대가 재도입 됐는지에 대한 이유를 생각하는 것’입니다. 늑대가 왜 재도입 됐죠?

초롱: 옐로스톤 공원의 생택계 파괴를 복원시키기 위해서입니다.

강쌤: 그렇죠. 그런 내용을 포함하는 선택지를 찾으면 됩니다.

 

 

강쌤의 32번 보기 분석:

 

강쌤: 저는 32번 문제의 답은 E라고 생각합니다. GPT-4 그렇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국 GRE 싸이트들은 32 문제의 답을 B라고 주장합니다.

 

http://gre-sanqian.kmf.com/explain/index?qid=69019&source=636

 

 

It indirectly harmed some of the park's amphibian habitats.

➡️ 오답 (늑대의 재도입은 간접적으로 공원의 양서류 서식지의 일부를 해쳤다는 내용은 본문에 언급되고 있지 않다)

 

It reduced the number of elk feeding along stream sides.

➡️ 오답 (늑대의 재도입은 시냇가를 따라 먹이를 찾는 엘크의 수를 줄였다는 내용은 본문에 언급되고 있지 않다)

 

It led to greater species diversity among the park's grazers and browsers.

➡️ 오답 (늑대의 재도입은 공원의 초식동물 및 방목동물 사이의 종 다양성을 증가시켰는지 여부는 본문에 언급되고 있지 않다)

 

It significantly increased competition for food among the park's carnivores.

➡️ 오답 (늑대의 재도입은 공원의 육식동물 사이의 식량 경쟁을 크게 증가시켰다는 내용은 본문에 언급되고 있지 않다)

 

It fostered the resurgence of tree species that once flourished in the park's open areas.

➡️ 정답 (늑대의 재도입은 공원의 탁 트인 지역에서 한때 번성했던 나무 종의 부흥을 촉진했다는 내용은 본문 마지막 문장에 언급되고 있다)

 

 

GPT-4의 32번 해설

 

32번 질문은 “지문의 저자는 옐로스톤에 늑대를 다시 소개하는 것에 대한 다음 주장 중 어떤 것에 가장 동의할 것으로 보이십니까?”입니다.

 

ⓐ 이는 간접적으로 공원의 양서류 서식지의 일부를 해쳤다.

ⓑ 이는 시냇가를 따라 먹이를 찾는 엘크의 수를 줄였다.

ⓒ 이는 공원의 초식 동물 및 방목 동물 사이의 종 다양성을 증가시켰다.

ⓓ 이는 공원의 육식 동물 사이의 식량 경쟁을 크게 증가시켰다.

ⓔ 이는 공원의 탁 트인 지역에서 한때 번성했던 나무 종의 부흥을 촉진했다."

 

지문 내용을 분석하면:

 

ⓐ 지문에서는 늑대의 재도입이 공원의 양서류 서식지를 간접적으로 해쳤다는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 지문에서는 늑대의 재도입으로 인해 엘크가 시냇가에서 먹이를 찾는 것이 줄었다고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 지문에서 늑대의 재도입이 공원 내 초식 동물 및 방목 동물의 종 다양성을 증가시켰다고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 지문에서 늑대의 재도입이 공원 내 육식 동물 사이의 식량 경쟁을 크게 증가시켰다고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 지문에서 늑대의 재도입이 아스펜과 다른 어린 나무들에게 성장하고 재확립될 기회를 주었다고 언급하고 있어, 공원 내 나무 종의 부흥을 촉진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목록
  2. 추천하기
  • 강쌤출판
  • |
  •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112길 45
  • |
  • 대표이사 강상흥
  • |
  • 사업자등록번호 507-96-00727
  • |
  • 통신판매업신고 제2018-서울강남-02776호
  • 고객센터 02-516-9887
  • |
  • 운영시간월~금 10:00 ~ 18:00 토, 일, 공휴일 휴무
  • |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gre_magujabi@daum.net
Copyrightⓒ 강쌤GRE. All rights reserved.
naverb6e1efc451202d7a7501e303d139c842.html